새해를 맞아 국정 운영 전반에 관한 여론조사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다수 국민이 유난히 사건 사고가 많았던 지난해의 악몽을 떠올리기 싫은 듯 모든 조사 결과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부정적이다. 지지율은 30%대 후반∼40%대 초반에 고착화되는 추세다.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것도 있으나 이를 포함해 어떤 조사에서도 ‘박 대통령이 잘했다’는 응답이 ‘못했다’보다 높게 나온 사례는 하나도 없다. 박 대통령은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지지율로 집권 3년차를 맞았다.
50%를 밑도는 지지율로는 국정 운영의 동력을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다. 국정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여론의 지지가 뒷받침돼야 한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지지도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을 중도층 이탈에서 찾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박 대통령을 지지했던 중도층이 돌아선다는 것은 지금까지의 국정 운영 패러다임이 잘못됐다는 의미에 다름 아니다.
박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경제활력 회복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아울러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단절과 갈등의 분단 70년을 마감하고,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통일 기반을 구축하고 통일의 길을 열어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국민 생각도 이와 다르지 않다. 국민들 역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올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국정과제로 선택했다.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의 주춧돌을 다지고, 통일 기반을 구축하려면 국민들의 분발과 전폭적인 협조가 있어야 한다는 점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대통령 스스로도 신년사를 통해 인정한 사실이다.
국민 절대 다수가 내각과 청와대의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요구하고 있다. 10명 가운데 무려 7∼8명의 생각이다. 이는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역할이 끝났다는 퇴장 명령이기도 하다. 두 사람은 세월호 참사와 ‘정윤회 문건’ 파동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인적 쇄신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당위가 됐다. 국민 협조와 국정 운영의 동력이 필요하다면 인적 쇄신을 더 이상 머뭇거릴 이유도, 여유도 없다.
[사설] 朴 대통령, 새해 여론조사 결과 새겨들어야
입력 2015-01-03 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