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초대형 北風… 정국 블랙홀 되나

입력 2015-01-02 03:50 수정 2015-01-02 10:42
"혁신을 위하여" 새누리당 지도부가 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단배식에서 '희망찬 새해'를 다짐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있다.

새해 첫날 터져나온 북한발(發) 남북 정상회담 제안이 정치권에도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과 청와대 문건유출 사건, 통합진보당 해산 등으로 숨가쁜 연말을 보낸 여야는 정국을 압도할 만한 대형 이슈의 등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당장 여야는 오는 9일 비선실세 관련 국회 운영위원회 개최를 시작으로 공무원연금 개혁, 자원외교 국정조사 등 굵직한 현안들을 처리해야 한다.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실시되는 4월 국회의원 보궐선거는 박근혜정부 중간평가 성격이 더해지면서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여기에 선거구 재획정, 개헌 논의 등 휘발성 강한 의제들이 줄줄이 대기 중이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모두 내부적으로 계파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1일 남북 정상회담이라는 메가톤급 의제가 불쑥 등장하자 여야는 보다 복잡한 계산을 풀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여권 내부에서는 박근혜정부 집권 3년차인 올해가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 수 있는 적기라는 데 이견이 없다. 광복 70주년이면서 6·15공동선언 15주년 등을 계기로 굵직한 이벤트가 이어져 남북관계가 급진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5·24조치 해제 등 북한이 다양한 후속 제의를 공세적으로 해올 가능성이 있어 이를 둘러싸고 여야는 물론 여권 내부에서도 이견이 노출될 수 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한 의원은 “꽉 막혀 있는 남북관계를 풀어야 할 시기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성급하게 접근해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전향적이면서도 냉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국회가 당리당략을 떠나 차분하게 뒷받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야는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남북 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밝힌 데 대해 환영했다. 하지만 5·24조치 해제를 놓고는 온도차를 보였다. 새누리당은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를 강조한 반면 새정치연합은 대화 재개를 통한 해제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전직 대통령을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북측이 모처럼 좋은 반응을 보인 것을 우리가 잘 수용해 남북관계 발전에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5·24조치는 천안함 희생자 때문에 생긴 것이기에 (해제를) 함부로 이야기하면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박대출 대변인은 서울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북한은 대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힌 만큼 전향적인 대화 의지를 ‘직접적인’ 대화 제의로 구체화시켜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새정치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김 제1비서가 남북대화에 적극 나설 뜻을 밝힌 것을 환영한다”며 “특히 정상회담 가능성까지 열어둔 데 주목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 발언이 실질적 대화로 이어져 5·24조치 해제,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 간 현안이 타결되길 바란다”고 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서울 용산구 의장 공관에서 개최한 신년 행사에서 “국회도 정부와 2인3각을 이뤄 남북관계 개선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