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밖 청소년에 꿈·희망을…

입력 2015-01-02 04:26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거나 대안학교를 다니는 청소년들을 ‘학교 밖 청소년’이라 부른다. 정규학교의 교육을 받지 않는 이들 청소년은 서울에서만 2013년 기준으로 1만6000명이 넘는다. 2010년에는 1만3000여명이었으니 3년 사이 20%나 늘었다. 이들은 예민한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지만 교육 지원에서 방치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서울시는 이 같은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종합지원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시는 우선 교육청, 서울중앙지검 등과 협력해 학교 밖 청소년을 조기에 발굴, 유형별로 맞춤형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학업 중단을 고민하는 재학생 중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학생의 정보를 학교로부터 제공받아 서울시위탁기관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를 통해 고민 상담과 학업 복귀, 진로탐색 등 다양한 지원을 할 계획이다. 거리에서 방황하는 청소년들은 거리상담소와 버스형 이동쉼터를 통해 지원하고 은둔형·외톨이형 청소년을 위한 방문상담도 강화한다.

범죄로 검찰에 송치된 청소년은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는 조건으로 기소유예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또 시교육청으로부터 지원받지 못하는 비인가 대안교육기관 지원대상을 현재 38곳에서 2018년까지 61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들에게는 교육활동공간과 프로그램, 인건비, 급식비,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또 학교 밖 청소년의 학습평등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원비, 대안교육 수업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울러 시내 25개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에서 학교 부적응, 학업중단 등 위기 청소년에 대한 개별상담을 실시하고 두드림(자립지원)·해밀(학업지원) 프로그램 운영센터도 현재 8곳에서 내년 2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성문화센터를 통한 성 전문상담과 교육, 아이윌센터를 통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상담, 청소년쉼터를 통한 주거 상담도 진행한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