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남북관계는… 北, 대화 제의엔 응답없이 원색적 비난만

입력 2015-01-01 03:26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최근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 평양의 야경 사진을 31일자에 게재했다. 사진에는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대형 초상화 뒤로 평양 창전거리 고층빌딩이 선명하게 보인다. 연합뉴스

북한은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대해 한마디 논평도 없이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을 오롯이 남한 정부 탓으로 돌리며 ‘대북정책 전환’을 요구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1일 논평에서 “북남관계를 파국 상태로 몰아넣은 장본인은 다름 아닌 남조선 괴뢰패당”이라며 “남조선 당국은 시대착오적인 대결정책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북한의 유화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남한이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처리, 박근혜정부의 통일 정책, 한·미 연합훈련 등 ‘대결정책’으로 일관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 29일 남한 정부가 이산가족 상봉과 ‘5·24조치’ 해제 등 포괄적 의제를 갖고 당국 간 회담을 하자고 한 제안에는 아무런 답변 없이 박근혜정부의 통일정책만을 문제 삼았다. 이 같은 주장은 정부의 대화 제의에 대한 답을 내놓기에 앞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진정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평양방송도 “괴뢰패당이 근본적인 대북정책 전환에 나서지 않는 한 새해에도 북남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1일 신년사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주목된다. 북한에서 최고 지도자 신년사는 다른 국가 지도자들의 신년사와는 무게감이 다르다. 당·정·군의 최고지도자가 주민들에게 직접 국가의 한 해 정세와 정책목표, 정책운영 구상을 밝히고 실천을 독려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정부 관계자는 “신년사 자체에는 원칙적인 입장이 담길 가능성이 크다”며 지난해 수준의 ‘남북관계 개선’ 메시지가 담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 경제의 ‘돈줄’이 막힌 점도 우리 측 대화 제의를 완전히 묵살하기 힘든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수출품이 무연탄과 철광석인데 수입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경기가 침체 중”이라며 “당 창건 70주년 행사를 위한 자금이 충분치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정은 체제’의 안정이 절실한 반면 국내외 불안 요인이 커 강경한 정책을 펴기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