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리더십 흔들… 친박 저항 ‘반란’ 수준 격화

입력 2014-12-31 04:42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30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출입기자단과 송년모임을 갖고 2015년 정국 운영 구상을 밝히고 있다. 구성찬 기자

취임 6개월을 앞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거리고 있다. 지난 7·14전당대회 참패 후 침묵을 지키던 친박(친박근혜) 주류의 저항이 ‘반란’ 수준으로 격화되고 있어서다. 여당 내 ‘친박 주류 대 당권파 비주류’의 권력투쟁이 급속히 번지면서 박근혜정부 3년차를 맞는 김 대표는 계파 갈등부터 해결해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됐다.

김 대표가 30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출입기자단과 송년 오찬을 하던 시각, 친박 의원이 주축인 당내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은 송년모임을 열고 ‘전횡’ ‘독단’ ‘사당화’ 등의 표현을 써가며 김 대표를 공개 비난했다. 포럼 총괄간사인 유기준 의원은 “선명하지 못한 당청 관계, 국민 역량과 관심을 분산시키는 개헌 논쟁, 260만 당원의 공동 권리이자 책임인 당직 인사권을 사유화하는 모습 등 정부와 여당의 발목을 잡는 일들이 끊임없이 터져 나오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유 의원은 “대표가 자기 혼자 모든 것을 전횡하는 듯한 모습에 대해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고도 했다.

전임 원내수석부대표였던 윤상현 의원은 “당 대표의 전대 득표율이 29%대였는데 지금 모습은 한마디로 92%의 ‘득템’(수확이라는 의미의 은어)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정리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윤 의원은 또 “당청 관계가 삐걱거린다. 전례 없이 금이 가고 있다”며 “삐걱거리면 기름을 치고, 금 가면 보강을 해야 하는데 그런 노력이 없다”고 했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의 여의도연구원장 임명을 거론하며 “여태까지 당직 인선을 이렇게 일방적으로 한 적이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태환 의원은 “당내에서 친박이 마치 야당인 것처럼 소외돼 있다”고 볼멘소리를 했다고 한다. 모임엔 39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사실 ‘친박 반란’은 김 대표가 서 최고위원을 누르고 당권을 잡았을 때부터 예상됐던 일이기도 하다. 언제 무엇을 명분으로 물꼬가 터질지가 관심사였는데 당 안팎에선 대선 승리 2주년인 지난 19일 박 대통령과 친박 중진 간 비공개 만찬이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왔다. 실제 만찬 회동 후 친박계가 급속히 결집했고, 김 대표를 겨냥한 공세도 뚜렷해졌다. 당내 주도권 탈환을 노리는 친박과 비주류 당권파 사이의 세력 다툼이 새해부터는 전면전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김 대표는 취임 후 무난하게 당을 장악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 친박 의원은 “김 대표가 어느새 당을 호주머니에 집어넣었다”고 표현했다. 당직 인선에서는 친박 주류 체제에서 배제됐던 인사들을 중용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런 그의 노선이 친박 의원들의 소외감을 낳았다. 김 대표가 송년 오찬에서 기자들에게 “당직자 명단을 갖다 놓고 전당대회 때 누구를 지지했는지 보라. 내가 반 이상 (친박 쪽에 당직을) 내놨다”고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취임 일성이던 ‘할 말은 하는 여당’ ‘수평적 당청 관계’와 관련해선 지난 10월 상하이 개헌봇물 발언 이후 주춤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김 대표는 친박 반발에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 측 인사는 “전횡한 적 없고, 당청 간에 무슨 갈등이 있다는 건지 납득하기 힘들다”며 “특별히 할 말이 없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