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경제·사회 부총리… 3각 컨트롤타워 떴다

입력 2014-12-31 02:09
정홍원 총리가 30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두 부총리와 함께 입장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정 총리. 연합뉴스

정부 직제 개편에 따른 ‘국무총리+부총리 2인=정책 컨트롤타워’ 체제가 본격적으로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정홍원 국무총리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3인 정례 협의회가 30일 처음 열렸다.

세 사람은 오전 국무회의를 마친 직후 정부세종청사에서 한 자리에 모여 30여분간 회동했다. 모임에서는 경제 활성화와 임시국회 중점 법안, 공무원연금 개혁, 원전 사이버 해킹, 국회 협력 활성화 등 주요 국정 현안이 모두 논의됐다.

정 총리는 “경제 활성화를 내년도 모든 정부 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삼아 정부 역량을 집중 투입해야 한다”며 “국회에서 논의 중인 관광진흥법 등 관련 법안 통과에 최선을 다하자”고 말했다. 또 “특히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경제부총리뿐 아니라 사회부총리도 적극 나서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협의에서는 노동개혁이 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노사정위 중심의 ‘노동시장 구조개선 대책’을 마련하는 데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 총리와 최·황 부총리는 앞으로 매월 두 차례, 국무회의 직후 만나 국정 현안을 점검할 계획이다. 총리와 부총리 간 정례 협의체 구성은 세월호 참사 이후 국가 대혁신을 이끌고 각종 현안을 조율할 컨트롤타워로서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번 회동은 지난달 사회부총리가 신설된 이후 두 부총리와 국정 현안을 적극 논의하겠다는 정 총리의 방침에 따라 마련됐다. 정 총리가 두 부총리에게 정례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고, 두 부총리가 긍정적 반응을 보이면서 만남이 성사됐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