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 對 친노 ‘한판’… 자원외교 국조 돌입

입력 2014-12-29 02:53
여야는 29일 국회 본회의에서 자원외교 비리의혹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의결하고 최장 125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구성부터 친이(친이명박) 대 친노(친노무현) 간 대리전으로 흐르는 양상이다.

국조특위 위원장에는 새정치민주연합 노영민 의원이, 여야 간사로는 새누리당 권성동, 새정치연합 홍영표 의원이 내정됐다. 이명박정부 때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낸 권 의원은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등 현안이 있을 때마다 전면에서 야당 공세를 막아냈다.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캠프의 종합상황실장을 맡았던 노 의원은 당내 ‘MB정부 해외자원개발 국부유출 진상조사위’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여기에 새누리당에선 대표적인 친이계 인사인 조해진 의원이, 새정치연합은 김현 박완주 최민희 의원 등이 배치됐다.

국조 쟁점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범위를 정하는 것부터 힘겨루기가 예상된다. 권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역대 정부가 진행한 자원외교의 문제점을 모두 조사해야지, 특정 정부만 겨냥해선 안 된다”고 했다. 국조가 이명박정부 흠집 내기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역대 정부를 끌어들이는 건 ‘물타기’라는 인식이 강하다. 이미 원내 지도부는 공개 석상에서 이명박정부에 대해서만 칼날을 휘두를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을 포함해 야당이 요구하는 ‘5인방’(이상득 전 의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최경환 경제부총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증인 채택 여부도 쟁점이다. 이 부분에서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 국조가 파행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