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勞-政 충돌 예고

입력 2014-12-27 02:55

한상균(52·사진) 전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장이 2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신임 위원장에 당선됐다. ‘즉각적인 총파업’을 대표 공약으로 내건 강성 민노총 지도부가 출범하면서 노동 개혁을 두고 노동계와 정부 간 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노총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오후 제8기 위원장·수석부위원장·사무총장에 대한 결선투표 결과 ‘기호 2번’ 한상균·최종진(56)·이영주(49) 후보조 당선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한 후보조는 유효 투표수 37만3742표 중 18만2249표(51.62%)를 얻었다. 투표율은 55.97%였다. 신임 지도부 임기는 내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3년이다.

이번 선거는 민노총 사상 처음 조합원 직접선거로 치러졌다. 민노총 내 소수파이자 좌파 계열인 ‘노동전선’ 그룹에 속한 한 위원장은 선거 직전까지 당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쌍용차 파업 주도 등으로 일반 조합원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은 데 힘입어 다수파 후보를 제치는 이변을 일으켰다.

한 위원장은 쌍용차지부장 시절인 2009년 5월 21일부터 평택공장을 77일간 점거하고 파업을 주도하다 구속돼 3년간 복역했다. 출소 후에는 해고자 복직을 촉구하며 171일 동안 송전탑 고공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조합원 직접선거로 당선된 민노총 강성 지도부가 출범하면서 정부가 내년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하려는 노동시장 구조 개혁은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한 위원장은 선거운동 당시 “현 지도부는 싸우는 방법을 잊어버렸다”며 “민노총에는 싸우는 법을 아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당선 발표 직후 ‘조합원께 드리는 글’을 통해서도 “노사정 야합을 통한 정리해고 요건 완화와 임금체계 개편 등 ‘노동시장 구조 개악’을 앞세운 정부의 임금·고용파괴 기도, 기만적 비정규직 종합대책이 노동자를 겨누고 있다”며 “80만 조합원의 힘으로 노동자 살리기 총파업을 조직하겠다”고 밝혔다. 새 지도부는 이미 내년을 현 정부와 전면전을 벌일 적기로 꼽고, 다음 달 열릴 정기 대의원대회에서 총파업 세부 내용을 논의할 방침이다.

정부는 다음주 중 정규직·비정규직 차별 완화 대책을 발표하는 등 계획대로 노동 개혁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노사정위원회에 민노총이 참여한다면 언제든 환영한다는 게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면서 “대화 노력은 지속하겠지만 노동계의 불법 파업에는 엄정히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강창욱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