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내에서 청와대와 정부를 향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부 주요 정책을 여당이 반대하고 나서는 일까지 벌어진다. 당정청 간 갈등이 표면화되는 모양새다.
대표적 사례는 정부가 군인·사학 연금 개혁을 추진한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여당의 반발로 백지화한 것이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 23일 한 토론회에서 “우리와 상의도 없이 정부가 마음대로 발표를 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군인·사학 연금 개혁 등을 담은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보고한 바로 다음날이었다. 김 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이 될지 안 될지도 모르고 얼마나 힘들게 우리가 이 불씨를 꺼지지 않게 하려고 노심초사하고 있는데…”라면서 “이 정부의 무능”이라고 작심발언을 하기도 했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한 국회 운영위원회를 언제 열지를 놓고도 엇박자를 드러냈다. 새누리당에선 올해 안에 운영위를 열고 이 문제를 매듭짓기를 바라는 기류였지만 청와대가 난색을 표하는 바람에 내년 1월 9일로 밀렸다는 것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의견도 있지만 가능하면 올해 안에 빨리 털어내야 할 문제”라고 했다.
김 대표는 최근 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보낸 신년인사회 참석자 명단을 받아본 뒤 “천지분간을 못 하는 사람들”이라며 강한 불쾌감을 표하기도 했다. 공문에는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원내수석부대표만 들어 있고 이군현 사무총장과 김학용 대표비서실장 등이 빠져 있었다. 관례적으로 참석하던 인사들이 누락됐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이들은 김 대표 측근이자 비주류 친이(친이명박)계 출신이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실무 과정에서 빚어진 일”이라며 “완성되지 않은 명단이 건너갔고 정식 초청 명단에는 이 총장이 포함돼 있다”고 해명했다.
이런 갈등이 단순한 ‘감정싸움’은 아니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부가 공무원연금 개혁, 담뱃값 인상, 쌀 시장 전면 개방, 공기업 개혁 등 휘발성 강한 사안들을 충분한 의견조율 없이 당에 떠넘긴 데 대한 불만이 누적된 결과라는 해석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불통’ 누적… 새누리, 靑·정부에 부글부글
입력 2014-12-27 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