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내년 2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균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07년 대선 때 제1야당 후보였던 정동영 상임고문이 탈당을 가시화하고 있다. 재야인사들이 추진하는 신당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전당대회 당권 경쟁이 문재인·박지원 의원의 양강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 계파 및 지역 대립이 극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전당대회 후 당이 사분오열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올 만도 하다.
우리 야당사에서 전당대회는 새로운 리더십을 발굴함으로써 야권세력이 한데 뭉치는 순기능을 해왔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두 번이나 집권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작금의 새정치연합이 그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통합과 화합은커녕 갈등과 반목을 증폭시킬 요소만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래가지고는 전당대회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집권 새누리당에 대적하기 어렵다.
정동영 고문의 탈당 검토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대선 패배 후 반성하기는커녕 국회의원 배지를 달려고 지역구를 이리저리 옮겨 다녔다. 당이 그런 사람을 품어주었음에도 어려운 시기에 제 주장만 펴면서 뛰쳐나가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대선 출마까지 한 정치인이라면 살신성인의 자세로 당의 혁신을 도모하는 것이 옳다. 그럴 자신이 없다면 뒤에서 조용히 돕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빅2 당권 주자인 문재인 의원과 박지원 의원은 각각 영남과 노무현 전 대통령, 호남과 김대중 전 대통령 세력을 대표하는 주자다. 제3의 중간지대 세력이 등장하지 않을 경우 두 세력이 당을 양분하는 최악의 전당대회가 될 수도 있다. 이는 여야 정당의 건전한 발전을 지향해 온 우리 정치에 불행한 일이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당권주자와 최고위원 출마자들이 전당대회를 단합의 용광로가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한다. 전당대회 유권자들도 변화와 개혁을 외치면서 실제로는 분열을 꾀하는 정치인에게 주저하지 말고 회초리를 들어야 한다. 새정치연합은 이번에 환골탈태하지 못하면 ‘만년 야당’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사설] 全大 앞둔 새정치연합 화합인가 균열인가
입력 2014-12-27 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