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1995년 출범 이후 처음으로 26일 직선제 위원장을 선출함으로써 향후 노동운동에 변화가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선거에는 전체 조합원 67만여명 중 62.7%인 43만여명이 참여했다. 이는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을 뽑는 공직선거를 제외하고는 가장 규모가 큰 선거다. 민주노총은 98년 2기 위원장 시절부터 직선제 도입을 공론화했으나 선거 인원 등의 어려움에 부닥쳤다. 그 과정에서 일부 위원장이 퇴진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다가 이번에 직선제를 실시하게 됐다. 당초 우려와 달리 조합원들이 대거 동참해 조직의 역량을 재확인했다는 긍정적 평가가 많다.
그러나 직선제 위원장 앞에는 여전히 과제가 쌓여 있다. 말로는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강조하면서도 대기업 정규직 노조 중심의 구조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해법을 내놔야 한다. 정파의 입김이 많이 작용했던 대의원 간선제의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직선제를 도입했으나 이번 선거도 정파 중심의 조직 선거였다는 데 이견이 없다. 기존의 폐습이 전혀 고쳐지지 않았다는 지적을 수용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것도 새 위원장의 몫이다.
초강성인 한상균 후보가 당선된 것에 대해서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쌍용자동차 노조지부장으로 2009년 쌍용차 파업을 주도한 그는 2015년을 노동운동의 성패가 달린 해로 규정하고 상반기에 총파업하는 등 정부와 전면적으로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노동 생태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이같은 투쟁 일변도의 노동운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직선제 위원장 선출을 계기로 민주노총도 변해야 된다. 지금과 같은 세 과시용 집회 등을 답습할 것이 아니라 상급 노조단체 본연의 정책 연구 및 대안 제시에 주력해야 겠다. 투쟁 만능주의에서 벗어나 노동과 고용·복지 문제를 함께 고민하는 등 가치 공유에 기반을 둔 사회적 연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 민주노총에 새로운 변화와 가능성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사설] 민주노총, 강경투쟁보다 대안제시 우선해야
입력 2014-12-27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