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절 원전 공격 위협] “원전 자료 해킹 北 소행 배제 안해”… 황교안 법무, 국회 법사위 답변

입력 2014-12-25 03:56

황교안(사진) 법무부 장관이 24일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과 관련해 “북한 소행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황 장관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이 북한 소행 가능성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또 “IP(인터넷 프로토콜) 추적 결과 중국 등 특정 지역을 통해 해킹된 게 맞느냐”는 김 의원 질문에 “총체적으로 확인된 건 아니지만 외국 사이트를 활용해 범행을 한 것으로 보이는 자료는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성탄절 사이버 테러’ 등 한수원에 대한 추가 해킹 공격 위협에 대해 “만일 테러가 들어와도 원자력발전소 정지 이상의 위험이 발생하진 않는다”며 “최악의 경우가 원자력발전소가 정지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원자력발전소는 운전과 관련한 제어망을 완전히 분리시켜놨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해킹할 가능성은 좀 적어 보인다”며 “망이 교란돼서 운전 상태가 이상해지면 원자력발전소는 언제나 정지 쪽으로 가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는 오는 30일 전체회의를 열고 한수원과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상대로 한수원 해킹 사건에 대한 긴급 현안보고를 받기로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