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내년 초 개각 여부를 둘러싼 설이 무성하다. 청와대 내부적으론 연초 소폭 이상의 개각 가능성을 지극히 낮게 보고 있지만 여의도발(發) 개각 및 인적 쇄신 목소리는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다. 안은 고요한데 외부에선 구체적인 하마평까지 나오면서 와글와글한 형국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4일 “전날 국무회의에서의 대통령 말씀과 내년 국무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극히 제한적인 개각 외의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각 부처가 내년 1월부터 바로 업무를 시작하고 각종 국정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다시 인사검증 시즌으로 회귀한다는 것은 어렵다는 의미다. 예년과 달리 정부 부처의 대통령 업무보고를 1월 12∼23일로 앞당겨 5차례로 압축해 진행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각 부처의 대통령 업무보고를 교체 대상인 장관이 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이 23일 국무회의 석상에서 이례적으로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사의 수용’을 공개한 것도 더 이상 인사는 없다는 시그널을 준 것으로 청와대는 받아들이고 있다. 한번 쓴 사람은 오래 곁에 두는 박 대통령의 인사 원칙도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현 내각이 그대로 갈 것으로 보는 이유 중 하나다.
박 대통령이 중폭 이상의 개각을 단행한 것은 지난 6월, 취임 이후 단 한 차례였다. 당시는 세월호 참사 국면을 벗어나는 ‘국가 대혁신’ 차원의 인적 쇄신 측면이 컸다. 반면 이번에는 이 전 장관 사퇴에 따른 불가피한 ‘원포인트 개각’ 외에 특별한 명분을 찾기 어렵다고 청와대는 보고 있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파문도 지난 7일 박 대통령의 “절대로 흔들리지 않겠다”는 언급으로 더 이상 큰 의미를 찾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청와대 내부적으론 개각과 청와대 개편론 등은 오히려 정치권의 ‘자가발전’이 아닌지 여기는 기류도 흐른다. 정치권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때마다 내각과 청와대의 인적 쇄신론이 불거지는 것 아니냐는 의미다. 청와대는 이 전 장관 후임자에 대한 검증작업에 착수했지만 당분간은 김영석 해수부 차관 대행 체제로 간다는 계획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년 상반기 중 부분개각 가능성은 여전히 배제할 순 없다. 내년 1월은 아니더라도 3∼4월이면 정부 출범과 함께 입각한 외교안보·경제부처 장관들이 재임 2년을 넘기는 만큼 일부 교체는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얘기다. 이 경우 내각과 청와대의 ‘투톱’인 정홍원 국무총리와 김기춘 비서실장 교체 여부도 정해질 수 있다.
박 대통령은 24∼25일 이틀간 특별한 외부 일정 없이 각 분야 구조개혁 등을 비롯한 신년 정국 구상에 몰두한다. 또 대국민 신년 메시지의 형식과 시기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회견이 될지 대국민 담화가 될지 결정되지 않았으나 현재로선 ‘소통’ 측면을 고려한 기자회견 쪽에 무게가 실린다. 예년대로라면 시기는 1월 초순이겠지만 정부 업무보고 기간 이후인 1월 말이 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밖에선 說 넘치는데… 靑 안에선 선 긋기
입력 2014-12-25 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