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년 담화보다 기자회견이라야 소통에 도움될 것

입력 2014-12-25 02:15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 또는 대국민 담화를 준비 중이라고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는 담화가 아니라 회견을 해야 한다고 본다. 국민들에게 당면 국정과제를 설명하고 협력을 요청하는데 회견이 훨씬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담화는 대통령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전하는 형식이어서 국민 공감을 얻기 어렵다.

박 대통령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인 기자회견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청와대는 취임 후 20여 차례 회견을 가졌다지만 외국 정상들과 회담한 직후 한두 명의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는 의례적 회견이 대부분이다. TV로 장시간 생중계되는 회견은 올해 1월 딱 한 번 했을 뿐이다. 지난해에는 언론사 논설실장단, 편집·보도국장단, 정치부장단과 비공개 오·만찬을 했지만 올해는 그마저 하지 않았다. 불통 대통령이란 지적이 나올 만도 하다.

박 대통령은 수석비서관회의나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자신의 국정 구상을 전파하는 걸 즐기는 듯하다. 언론을 통해 보도되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일방적 커뮤니케이션이어서 국민 설득에 한계가 있다. 두 회의는 엄연히 청와대와 행정부 내부 행사다. 국민들은 대통령이 기자들과 일문일답을 하면서 내놓는 진정성 있는 답변을 원한다. 박 대통령이 회견을 꺼리는 것은 실정(失政)에 대한 언론의 추궁을 두려워하기 때문인가. 그게 아니라면 기자들 앞에 당당히 나서야 한다.

박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 한 달이 조금 지난 5월 19일 대국민 사과와 후속 대책을 담은 장문의 담화를 발표했다. 말미에 희생자들의 이름을 부르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하지만 울림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당시 기자들로부터 국민의 울분이 담긴 다양한 질문을 받고 진심어린 사과와 함께 위기 극복을 위한 국론 결집을 호소했다면 수습이 훨씬 수월했을 것이다. 박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아 비선실세 국정개입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경제 살리기와 개혁 과제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전폭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대통령이 국민들과 마음으로 소통하는 기자회견을 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