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인터넷망이 23일 오전 한때 완전히 마비돼 미국의 보복 공격, 반북단체 소행 등의 가능성이 제기됐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 주말 북한의 소니 영화사 해킹 사건을 겨냥해 보복 공격을 뜻하는 ‘비례적 대응’을 천명한 바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북한의 인터넷 사이트들이 지난 20일부터 연결 상태가 악화되다 23일 오전 1시부터 완전히 불통 상태에 빠졌다. 북한 인터넷 사이트는 10시간여 만인 오전 11시40분쯤 정상화됐다.
이번 불통 사태가 우연히 일어났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정황으로 보아 미국이 비공개로 보복 사이버 공격에 나섰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고 미 언론들이 전했다.
미 국무부는 이에 대해 확인도 부인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우리가 대응조치를 이행하면 일부는 눈에 보이고 일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보기술(IT) 분야에 정통한 워싱턴 소식통은 “미국이 ‘보복’을 선언했지만, 이번처럼 당장 자신들의 소행으로 지목될 것이 뻔한 방식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북한에 반감을 가진 해커들의 소행이거나 북한이 미국의 공격에 앞서 예방 차원에서 스스로 인터넷 연결을 끊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우리 정부 관계자도 “반북 극우단체, 미국 정부, 북한의 자작극 등 세 가지 정도로 추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 인터넷망 마비 사태의 중국 관여 가능성 보도에 대해 “아무런 사실적 근거도 없는 완전한 추측성 보도”라면서 “신뢰할 수도 없고, 무책임하고 비전문적일 뿐만 아니라 오해의 소지가 많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미국의 요청에 따라 북한의 소니 해킹 연관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베이징=
맹경환 특파원 bwbae@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美, 對北 사이버 보복 공격?
입력 2014-12-24 04:52 수정 2014-12-24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