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이주영 사의 수용 연초 원포인트 개각

입력 2014-12-24 03:37 수정 2014-12-24 09:41
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수차례 사의를 표했던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의 사의를 결국 수용했다. 이 장관이 사퇴함에 따라 박 대통령의 집권 3년차인 내년 초 부분 개각 여부가 주목된다. 그러나 현재로선 부분 개각 대신 원포인트 개각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국무회의를 통해 “오늘 국무회의를 끝으로 이 장관이 물러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세월호 사고로 해수부가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을 때 136일 동안 진도 현장을 지키며 온몸을 바쳐 헌신하는 모습에 유가족과 국민들이 큰 감동을 받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 장관에 대해 “공직자의 참된 모습을 보여줬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어느 자리에 있든지 나라를 위해 더 큰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인사 문제는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면서도 “현재 청와대 내에선 개각과 관련된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부분 개각이 이뤄질 경우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파문 이후 정치권에서 제기됐던 인적 쇄신 요구를 수용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현재로선 여론에 떠밀리듯 하는 개각은 큰 의미가 없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특히 연초 부분적이나마 개각이 이뤄질 경우 또다시 인사검증 등 청문회 정국이 재연되는 게 국정 운영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특히 이 장관 후임에 대해 “당분간 해수부 장관직은 차관 대행으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다만 내년 초부터 공무원연금을 비롯한 노동시장·금융부문 개혁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구상을 세워놓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장관 사표 수리 시기에 대해 “대통령은 이 장관이 제출한 사표를 내일쯤 재가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다른 국무위원들도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자세로 열중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한 것에 대한 해석도 분분하다. 박 대통령의 이 언급은 이 장관 외에 다른 일부 부처 장관들에 대한 개편 가능성을 시사한 해석도 있지만, 대부분 부처 장관들이 차질 없이 국정에 임해줄 것을 당부한 것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