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6곳 누수·용출 현상… 홍수 감소·수자원 확보 효과”

입력 2014-12-24 04:50 수정 2014-12-24 10:18
국무총리실 소속 민간위원회인 ‘4대강 사업 조사·평가위원회’(조사위)는 23일 4대강 16개 보(洑) 가운데 6개 보 하부 물받이공에서 물이 새는 누수(漏水)현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보 구조물은 기준 하중을 고려해 적절하게 설계돼 구조적으로 안전하다고 판정했다. 조사위는 특히 “4대강 사업은 일정부분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세종문화회관에서 4대강 사업 조사평가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구미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공주보 백제보 등 6개 보의 하부 물받이공에서 물이 새거나 솟아오르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물받이공은 보 상류의 물이 보를 통과해 떨어질 때 큰 낙차로 인해 하천 바닥을 훼손하지 않도록 보 아래에 콘크리트로 시공한 구조물이다. 이 구조물에 균열이 갔다는 의미로, 그동안 이로 인해 보 본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4대강 주변 지역의 홍수 피해 저감 및 수자원 확보 효과 등에 대해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 같은 조사위 발표가 이명박정부의 4대강 사업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조사위는 수자원 수환경 농업 문화관광 등 4개 분야를 지난 1년4개월간 집중 조사했으며, 정치·사법적 판단 영역에 속하는 사항은 평가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고 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