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터넷 사이트들이 23일 한때 완전 다운됐다. 북한의 핵심 언론매체인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은 물론 고려항공 등 도메인 ‘.kp’를 사용하는 웹사이트들이 한꺼번에 접속이 되지 않았다. 불통 10여 시간 만에 대부분 정상으로 돌아왔지만 북한 인터넷망이 일시에 무력화된 것은 조직적 사이버 공격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북한의 인터넷 다운은 미 연방수사국(FBI)이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 사건을 북한 소행으로 결론 내린 이후 일어났다는 점에서 미국의 보복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소니 해킹사건을 ‘사이버 반달리즘’으로 규정하고 “비례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힌 직후여서 더욱 그렇다. 특히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광범위한 옵션을 검토 중이며 대응조치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부는 눈에 보이고 일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고 사이버 보복을 시사했었다.
이번 일이 북·미 사이버전쟁으로 확대될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사이버사령부와 육·해·공군사이버사령부 등에 8만여명의 인력을 운영 중인 세계 최강의 사이버 전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에 북한이 맞대응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그렇다면 북한이 남한에 화풀이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최고사령부와 국방위원회, 노동당 등에 7개 해킹조직 1700여명의 인력을 운영 중이다. 이 해킹조직을 지원하는 조직과 인력도 13개 4200여명 수준으로 알려졌다.
반면 우리 군의 사이버 전력은 고작 600여명 수준이라고 한다. 물론 국가정보원과 경찰 등에서도 사이버 인력을 운영 중에 있으나 이 정도의 인력과 조직으로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우리는 여러 차례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받았으나 단 한 번도 보복한 기억이 없다. 그럴 만한 역량을 갖추지 못한 탓이다. 국가 1급 보안시설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도면이 유출됐는데도 아직 뜬구름만 잡고 있는 게 우리의 현주소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을 막으려면 적어도 북한 수준의 인력과 조직은 갖춰야 한다.
▶ 관련기사 보기◀
[사설] 北 사이버공격 응징할 수 있는 능력부터 갖춰야
입력 2014-12-24 02:30 수정 2014-12-24 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