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수익성이 있고 투자자 보호가 충분히 가능한 공공기관의 상장을 정부에 계속 건의하고 있다”며 “정부도 적극 검토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 이사장은 지난 19일 부산시 남구 문현금융단지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신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년에도 ‘상장 드라이브’에 박차를 가할 것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공공기관 상장이 민영화로 연결된다는 시각에 대해 “한국전력이나 한국가스공사처럼 상장을 하더라도 정부가 일정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면 얼마든지 공공기관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우량 공기업이 상장하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부가 구주 매출을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증자를 통한 부채 상환도 가능하다고 최 이사장은 설명했다.
그는 “올해 기업공개(IPO) 규모가 크게 확대돼 최근 2년간의 부진에서 벗어났다”며 “IPO 열기가 내년에도 이어지도록 시장별로 차별화된 상장 활성화 계획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IPO 금액은 유가증권시장 3조4770억원, 코스닥시장 1조4000억원으로 총 4조8770억원에 달한다. 이는 삼성생명 대한생명 등이 상장된 2010년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올해 코스닥시장 IPO 금액은 역대 최고 수준이다.
거래소는 상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지원과 업계의 노력을 IPO 실적 개선의 원동력으로 꼽았다. 특히 삼성SDS 제일모직 쿠쿠전자 등 업종 대표기업들의 상장으로 IPO 붐이 조성됐다. 개인청약증거금으로 지난해(5조5000억원)보다 10배 많은 55조8000억원이 몰리는 등 공모시장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 류성곤 상무는 “현대차그룹 계열 광고회사 이노션 등 20개사가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준비 중”이라며 내년에 IPO 기업 수와 공모 규모가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코스닥시장본부 임승원 상무는 “기술 평가 인프라를 개선하고 업종별 상장 요건의 차등화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 “공기업 상장, 정부에 적극 건의”
입력 2014-12-23 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