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한 최 경위·세계일보 기자 정보 교환… 추적 피하려 ‘텔레그램’ 활용 포착

입력 2014-12-22 04:01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은 ‘정윤회 문건’이 유통돼 보도되는 과정에 해외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이 활용된 정황을 포착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지난 13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최모(45) 경위와 세계일보 기자가 텔레그램으로 정보를 주고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검찰은 최 경위 휴대전화 복원 등을 통해 텔레그램 사용 기록을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에 서버를 둔 텔레그램은 국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메신저에 비해 보안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이버 망명’ 열풍 때 국내 가입자가 크게 늘어났었다. 검찰은 최 경위가 문건 전달 사실을 감추거나 대책 논의를 하는 데 텔레그렘을 사용한 것으로 의심한다. ‘정윤회 문건’이 텔레그램을 통해 오갔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검찰은 세계일보 측에 해당 문건이 전달된 시점이 첫 보도(지난달 28일) 1∼2개월 전인 것으로 보고 있다. 최 경위가 청와대 문건 사본을 몇 차례로 나눠 건넸을 개연성이 높다는 의미다. 다만 최 경위의 경우 이미 사망해 ‘공소권 없음’ 처분이 내려질 예정이고, 세계일보가 문건을 받아 보도한 행위도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다.

한편 검찰은 문건 작성자 박관천(48) 경정의 ‘윗선’과 범행 동기를 집중 수사 중이다. 검찰은 조만간 박 경정의 상관이던 조응천(52)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불러 문건 작성 및 유출 과정에 개입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다만 박 경정은 조 전 비서관의 관련 여부에 대해 ‘입’을 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연내에 ‘정윤회 문건’ 수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