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電 자료 유출 파문] 2013년부터 ‘사고뭉치’

입력 2014-12-22 02:14 수정 2014-12-22 17:41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관리 부실 문제가 잊을 만하면 도마에 오르고 있다. 원전의 내부 정보 유출은 정보보안 차원을 넘어서 국민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대대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5월 원자력안전위원회 조사결과 신고리 1·2호기, 신월성 1호기, 건설 중인 신월성 2호기 원자로에서 시험성적표를 위조한 제어케이블 등 불량 부품이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해당 원전은 바로 가동 중단됐다. 검찰은 원전비리수사단을 꾸려 한수원 직원들이 납품업체로부터 금품을 받고 시험성적을 조작하는 등 부정을 저지른 사실을 밝혀냈다. 받은 금품은 고위급부터 말단 직원까지 나눠가지는 게 관습처럼 자리 잡고 있었다. 이때 전국적으로 2000여건이 넘는 시험성적 조작 사례가 적발됐다. 특히 지난해는 유례없는 폭염으로 전력 사용이 급증해 원전 3기 가동 중단(발전용량 각 100만㎾)에 따른 불편도 컸다. 당시 원전 가동 중단으로 한수원이 입은 피해액은 1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불량부품에서 시작된 사건이 권력형 부정부패로 확대되면서 한수원은 1년 넘게 검찰의 조사를 받았고, 100여명의 전·현직 임직원이 배임·횡령·사기 등 혐의로 기소됐다. 이 과정에서 김균섭 전 한수원 사장이 물러났고 ‘원전마피아’라는 오명까지 얻었다.

한수원은 지난해 9월 조석 사장이 취임한 뒤 임원 71명 중 절반 이상인 38명을 교체했고, 부장 이상 퇴직자는 3년 동안 협력사에 취업할 수 없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에도 원전 가동 중단이 적잖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10월 한빛원전 3호기가 세관 균열로 가동을 중단했고, 신고리 1호기도 송전설비 이상으로 추정되는 문제로 가동을 멈췄다. 올 들어 원전이 예방 정비 목적이 아닌 고장으로 가동을 멈춘 것은 7차례나 된다. 지난달에는 한수원 직원이 내부 전산망에 접속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용역업체에 유출한 사실이 산업통상자원부 감사로 드러나기도 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