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지지율 추락, 회복의 답은 ‘인적쇄신’

입력 2014-12-22 02:21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지 2년을 갓 지난 박근혜 대통령의 남은 여정이 험난하다. 예상치 못한 악재 속에 박근혜정부 출범 1·2년차를 무기력하게 보낸 만큼 다가올 3년차에는 어떤 식으로든 정국 전환의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로선 박 대통령이 어떻게 향후 국정운영의 동력을 새로 주입해 반전을 노릴지 해법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박 대통령은 올해 초부터 경제 살리기와 민생안정, 규제개혁 등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놓고 각 부처를 독려해 왔다. 그러나 국민들이 체감하는 민생 성적표는 한마디로 기대 이하다. 연이어 발표됐던 2년차 국정의 청사진은 제대로 펼쳐지기도 전에 빛이 바랬다. 특히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난 허술한 재난안전 체계와 부정부패는 박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신뢰위기를 가져왔다. 이 와중에도 6·4지방선거 선전과 7·30재보선의 예상 밖 압승이라는 정국 전환 계기가 마련됐지만 이를 새로운 국정 활력으로 연결시키지 못했다. 그런 노력도, 능력도 모두 태부족이었다는 평가다.

박 대통령은 특히 취임 이후 경제 관련 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현장을 방문하는 등 경제 행보에 방점을 뒀지만 경제 활력의 모티브를 제공하기에는 대내외적 여건조차 따라주지 않았다. 여기에 이른바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파문으로 나라 전체가 흔들리면서 집권 2년간의 성과를 거론하는 것조차 난감한 상황이 돼버렸다. 청와대 관계자는 21일 “정부 출범 첫해는 전임 정부가 사실상 편성한 예산으로 사업을 하지만 2년차는 처음으로 정부가 책임의식을 갖고 국정을 운영하는 해”라면서 “예상하지 못한 악재들이 너무 많이 튀어나온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현 정부에서 발생한 참사와 각종 의혹, 그에 따른 불신 확산 등은 박 대통령에 대한 심각한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9일 발표한 박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는 취임 이후 최저치인 37%를 기록했고, 부정적 평가도 최고치인 52%로 치솟은 상태다. ‘콘크리트 지지율’로 여겨졌던 40% 벽까지 무너진 것이다. 박 대통령 2년차 4분기의 직무수행 지지율도 40%로, 전임 이명박 대통령 2년차 4분기의 45%보다 5% 포인트 낮은 수치다. 반면 부정적 평가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2년차(57%)를 제외하곤 역대 최고수준인 50%에 달했다.

이는 16∼18일 전국 성인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 포인트)다. 특히 박 대통령 지지세가 굳건했던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도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증가한 것은 예사롭지 않다.

결국 박 대통령에게 남은 선택은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통한 소통방식의 변화밖에 없다는 게 대다수 평가다. 지난 1년간 정부가 보여준 소통 부재, 조율능력 부족을 절감하고 환골탈태해야 한다는 의미다. 여권 관계자는 “과거보다 한층 투명한 방식으로 국민과의 접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여러 위기단계에서 안이한 대응으로 일관해온 청와대 비서진에 대한 쇄신과 위기대응능력 제고 역시 이뤄져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에 대해 “자유민주주의를 확고하게 지켜낸 역사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