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정부, 위안부 문제 사죄하도록 韓·日 기독인 힘 모아야” 마이크 혼다 美 하원의원 간증

입력 2014-12-22 02:26
일본군위안부의 인권 회복을 위해 애써 온 미국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이 20일 저녁 서울 여의도순복음교회 예루살렘 성전에서 강연을 통해 한국 기독교인들이 일본 정부의 사죄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줄 것을 호소했다.

“화해하고 화목하는 것은 기독교의 새로운 가치가 아닙니다. 일본에 있는 또 다른 믿음의 지체들과 함께 일본 정부를 설득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하도록 노력합시다. 그래서 화해와 화목을 이끌어냅시다.”

일본계 미국인 마이크 혼다(73·민주·캘리포니아) 미 하원의원의 결의에 찬 호소에 청중은 큰 박수로 화답했다. ‘일본군 위안부들의 희망’으로 불리는 혼다 의원이 20일 저녁 서울 여의도순복음교회(이영훈 목사)를 방문했다.

혼다 의원은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1941년 미 캘리포니아주 월넛 그로브에서 일본계 3세로 태어났다. 이듬해 그는 부모와 함께 콜로라도 강제수용소에서 1945년까지 갇혀 지냈다. 당시 미국 정부가 배신·간첩 행위 등 안보상 이유로 일본계 미국인 12만명을 미국 수용소 10여곳에 격리 조치했기 때문이다.

강제수용소 생활은 그의 삶의 전환점이자 나침반이 됐다. 인종·국적에 대한 차별을 몸소 체험하면서 소외된 이들을 위한 투신을 결심한 것이다. 그는 30년 동안 지녔던 과학 교사의 직함을 벗어던지고 50세에 정계에 입문했다. 그리고 올해 8선에 성공한 그는 20년 넘게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권 회복을 위해 목소리를 내왔다. 혼다 의원은 “(일본군 위안부들은) 이 시대의 불평등과 불공정의 살아 있는 증거”라며 “일본 정부가 정식으로 사과하고 책임질 때까지 정의와 화해, 인권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의 이 같은 신념은 2007년 미 연방 하원의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HR 121)’ 통과를 주도하게 만들었다. 이 결의안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내용이다. 올 초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 시행 촉구안’도 혼다 의원의 노력이 견인차가 됐다. 앞서 1999년 캘리포니아 주의원 시절에도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주의회에 제출해 통과시켰다.

어린 시절 어머니를 통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는 혼다 의원은 “예수님이 살아계실 때 무슨 일을 하셨습니까”라고 반문하고 정의·화해·인권 활동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일본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세계 인류의 문제이며,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과 내일의 문제”라며 “한국의 기독교인들이 관심을 갖고 일본 교회와 교수 등 지식인층을 향해 일본 정부가 진심으로 사죄할 수 있도록 설득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