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항공여객(인천국제공항 제외)6000만명 시대가 활짝 열렸다. 2012년 5000만명 항공여객 기록을 달성한 지 2년만의 성과다.
6000만 번째 주인공은 김포공항 국제선에서 탄생했다. 한국공항공사는 19일 오전 김포공항 국제선 3층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동시 출국하던 중국인 호징윈(31·여)씨와 일본인 스미지 유(37·여)씨에게 꽃다발과 기념품을 전달했다. 연말까지 공항공사가 운영하는 전국 14개 공항의 올해 여객은 6181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와 비교해 12.1% 늘어난 수치다. 공항별 이용객은 제주공항 2329만명, 김포공항 2163만명, 김해공항 1038만명, 나머지 11개 공항이 651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공항공사는 여객 증가의 비결로 정부 지방자치단체 항공사 여행사 간 유기적인 협업을 꼽았다. 올해 들어 양양·청주·무안·대구공항이 무비자 환승 공항으로 지정됐고, 외국인 무비자 체류 시간이 72시간에서 120시간으로 늘면서 중국인 관광객 요우커(游客)를 늘리는 요인이 됐다는 설명이다. 대구공항은 지난 7월 야간비행제한 시간도 단축됐다. 공항공사와 해당 지자체 등의 건의를 정부가 수용한 결과다. 여기에 지방공항을 중심으로 요우커를 타깃으로 한 신규 노선을 개설하는 전략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공항공사는 지방공항에 11개 한·중 노선, 주 34회 운수권을 새로 확보했다. 특히 바다를 선호하는 중국인을 공략하기 위해 지난해 3개 노선에 불과했던 양양∼중국 노선을 올해 24개로 증설했다. 양양공항의 지난해 연간 공항 이용객은 4만명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23만명을 넘어섰다.
지방공항이 저비용 항공사(LCC)와 제휴를 맺고 국내외 여행 장벽을 낮춘 것도 영향을 미쳤다. 공사는 양양 청주 대구 무안 여수 사천 포항 울산 등 8개 공항을 이용하는 LCC를 대상으로 시설 이용료를 절반 감면했다. 이에 힘입어 LCC의 국내선 여객 분담률이 올해 처음 50%를 넘기도 했다. 공사는 향후 국적 LCC사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김석기 공항공사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불황과 엔저 등 위기를 딛고 대한민국이 세계 6위 항공운송 국가로 성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며 내년 항공여객 7000만명 돌파를 새 목표로 제시했다. 김 사장은 “앞으로도 지방공항 활성화를 통해 모든 국민에게 고른 여행 기회를 제공하고, 국적 LCC를 적극 지원해 저렴한 요금으로 편리한 항공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年 항공여객 6000만명 시대
입력 2014-12-20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