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시인’으로 불리는 김남조 시인이 내년에 미수(米壽·88세)를 맞는다. 1927년 대구에서 태어난 김 시인은 서울대 국문과를 나와 ‘사랑초서’ ‘바람세례’ ‘심장이 아프다’ 등 17권의 시집을 냈다. 한국시인협회와 한국여성문학인회 회장을 역임한 후 숙명여대 명예교수와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1987년부터 해마다 시를 형상화한 그림으로 ‘詩가 있는 그림展’을 열고 있는 서울 강남구 갤러리서림이 올해는 김 시인의 대표시를 테마로 한 전시를 22일부터 내년 1월 10일까지 연다. 화가 13명이 김 시인의 시를 그림으로 재탄생시킨 작품을 선보인다.
대구에서 활동하는 노태웅 작가는 ‘겨울바다’를 눈 내린 바닷가 인근 풍경으로 담아냈다. “겨울바다에 가 보았지/ 미지의 새/ 보고 싶던 새들은 죽고 없었네/ (중략)/ 기도를 끝낸 다음 더욱 뜨거운 기도의 문이 열리는/ 그런 영혼을 갖게 하소서/ 남은 날은 적지만/ 겨울 바다에 가 보았지/ 인고(忍苦)의 물이/ 수심 속에 기둥을 이루고 있었네.”
황주리 작가는 ‘편지’를 꽃잎 속에서 기타를 치거나 어깨동무를 하며 서로 끌어안는 풍경으로 담아냈다. “그대만큼 사랑스러운 사람을 본 일이 없다/ 그대만큼 나를 외롭게 한 이도 없었다/ 이 생각을 하면 내가 꼭 울게 된다/ (중략)/ 그대에게 매일 편지를 쓴다/ 한 구절 쓰면 한 구절을 와서 읽는 그대/ 그래서 이 편지는 한 번도 부치지 않는다.”
김 시인이 살고 있는 서울 용산구 효창운동장 옆 자택에서 바라보면 광화문의 ‘충무공 이순신 장군’ 동상과 마주하게 된다. 남편인 조각가 김세중(1928∼1986)의 작품이다. 황 작가의 ‘편지’는 먼저 떠나보낸 연인에게 띄우는 애틋한 그림엽서 같다.
서양화가 전준엽은 ‘내가 흐르는 강물에’를 푸른 강과 소나무를 배경으로 그렸다. 원로화가 박돈은 말을 타고 황야를 달리는 그림을 통해 ‘서녘’을 형상화하고,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인 민경갑은 따뜻한 색채로 ‘봄날 1’을 풀어냈다. 이밖에 안윤모(‘여행지의 벤치’) 이영숙(‘바다’) 정일(‘환한 경치’) 한젬마(‘조국’) 등 작가들이 전시에 참여했다(02-515-3377).
이광형 선임기자 ghlee@kmib.co.kr
김남조 米壽 기념 ‘詩가 있는 그림전’
입력 2014-12-22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