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를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내부 자료가 유출돼 비상이 걸렸다. 유출된 것은 ‘월성 1호기 감속재 계통 ISO 도면’ 등 경북 경주 월성원전 및 부산 기장 고리원전의 설치도·계통도 자료들과 한수원 임직원 1만여명의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개인정보다. 해킹에 의한 것인지 내부 직원이 빼돌린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해커로 추정되는 인물이 개설한 인터넷 블로그를 통해 이들 보안자료와 정보가 공개됐기 때문에 해킹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해킹이 사실이라면 중대한 문제다. 국가 안보 및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시설의 보안 시스템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우리의 전력안보체계가 치명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걸 의미한다. 사이버 테러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 한수원의 데이터센터를 해킹했다고 주장하는 해커집단은 자신들을 원전반대그룹으로 지칭하며 2차 공격(제어 시스템 파괴)까지 예고한 상태다. 이에 한수원은 긴급 점검 결과 해킹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국내 모든 원전의 제어 시스템에는 문제가 없다고 19일 밝혔다. 그러나 자료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 등이 제대로 파악되지 못해 우려스럽다.
이런 사태가 빚어진 것은 한수원의 허술한 보안관리와 안전불감증 때문이다. 이는 지난달 한빛·고리원전 보안실태 감사결과에서도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한수원 직원 19명의 업무용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협력업체에 알려줘 업체 직원들이 한수원 전산망에 자유롭게 접속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번 유출 사건으로 보안 부실이라는 고질적 병폐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수사 의뢰를 받은 검찰이 실제 해킹 여부 등 범행 전모를 규명해야 한다. 한수원은 그에 따라 엄중한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
[사설] 보안시스템 부실로 原電자료까지 유출되다니
입력 2014-12-20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