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濠 정부, 시드니 인질범 추방 기회 있었다”

입력 2014-12-18 02:48
시드니 도심 인질극으로 홍역을 치른 호주가 보안 당국의 허술한 감시체계로 또 한번 뭇매를 맞고 있다. 인질범의 모국인 이란은 수배인물인 모니스의 신병 인도를 요구했으나 호주 정부가 거절했다며 책임 소재를 전가했다.

호주 일간 데일리텔레그래프는 “인질극의 주범인 만 하론 모니스가 호주보안정보기구(ASIO)의 감시 대상자 리스트에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며 허술한 범죄자 감시시스템이 참사를 불러일으킨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모니스는 2009년까지는 ASIO 감시 대상자였지만 이후 제외됐으며 정보 당국의 시야에서 벗어났다. 더불어 이란 정부가 14년 전 모니스를 본국으로 송환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호주 측이 이를 거부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같은 날 호주 ABC방송은 이란 경찰 책임자를 인용해 “1990년대 말 난민 자격으로 호주로 간 모니스가 사기 혐의로 수배된 인물이어서 본국 송환을 요구했지만, 호주 측이 양국 간 범죄인 인도조약이 체결돼 있지 않다는 이유로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이란 외무부 대변인도 호주 관리들과 모니스의 심리 상태에 대해 여러 차례 논의한 적이 있다고 강조하는 등 이번 사태의 불똥이 이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호주 정부의 관리 부실을 부각시키는 모양새다.

토니 애벗 호주 총리는 “어떻게 이런 미치광이가 지역사회에서 활개치고 다닐 수 있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앞으로 수일 그리고 수주 동안 위기 대응 능력을 키우며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사후약방문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