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정윤회 미행설’ 신빙성 있다” 주장

입력 2014-12-16 04:15 수정 2014-12-16 09:31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을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동희 기자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56) EG 회장이 15일 검찰에 출석해 “나는 청와대 문건 작성·유출과 무관하다”고 진술했다. 박 회장은 “정윤회(59)씨가 사람을 시켜 나를 미행했다는 의혹은 어느 정도 신빙성이 있다고 본다”는 취지의 주장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은 박 회장의 생일이기도 하다. 그는 1989∼2002년 여섯 차례나 마약 복용 혐의로 구속과 석방을 반복했지만 이후 검찰에 소환된 기록은 없다. 과거엔 피의자였으나 이번엔 참고인 신분으로 나왔다.

검찰은 지난 10일 정씨, 14일 이재만(48) 청와대 총무비서관에 이어 박 회장까지 닷새 동안 이른바 ‘만만회’로 불렸던 3인을 모두 소환했다.

◇“문건 유출 모르는 일”=검찰이 소환까지 한 것은 청와대 문건의 외부 유통 과정에 박 회장 이름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박 회장은 참고인 신분임에도 직접 검찰 조사에 응하는 정공법을 택했다. 세계일보는 지난 5월 박 회장을 직접 만나 100여쪽 분량의 문건을 건넸다. 대부분 박 회장 부부와 주변 인사 관련 보고서였다. 박 회장은 검찰에서 “세계일보 측에서 문건이 유출됐다고 하고 나와 관련된 내용도 있다고 해서 만난 것일 뿐”이라고 진술했다. 그는 청와대 측에 문건을 직접 전달하진 않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박 회장에게 조응천(52) 전 공직기강비서관, 박관천(48) 경정과의 관계 및 문건 유출 과정에서의 개입 여부 등을 물었다. 조 전 비서관은 세계일보와 박 회장의 만남을 주선했고, 이후 지난 6월 초 오모 전 행정관을 통해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에게 128쪽의 문건 사본을 제출하기도 했다. 세계일보 조모 기자와 최근 자살한 최모(45) 경위 간 대화 녹취록 및 자신이 정리한 유출경위서도 넘겼다. 경위서에는 ‘민정수석실 근무 경찰관이 문건을 빼돌렸으며, 대검 수사관을 거쳐 세계일보에 전달됐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 경위서가 문건 유출 파악에 혼선을 주기 위해 조작된 것으로 본다. 이는 이른바 ‘7인회 배후설’의 시발점이 됐다. 검찰 관계자도 “우리가 조사한 것과 내용이 전혀 다르다”고 했다. 검찰은 조사 결과 박 회장이 문건 유통 과정에서 어떤 ‘액션’을 취한 것이 없는 것으로 사실상 결론 냈다.

◇권력암투설 발단된 ‘미행설’ ‘7인회’ 조사=검찰은 ‘정윤회의 박지만 미행설’에 대해서도 집중 조사했다. 시사저널은 지난 3월 “박지만 ‘정윤회가 나를 미행했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으며, 정씨는 시사저널을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해당 기사는 정씨와 박 회장 간 권력암투설을 촉발시켰다. 하지만 박 회장은 이날 출두 전까지 검찰 수사에 협조하지 않았다. 이에 정씨는 “박 회장이 자신을 미행한 용역업체 직원의 자술서를 갖고 있다고 주장해 의혹을 키웠다”고 주장해 왔다. 검찰은 박 회장을 상대로 미행설이 나온 배경이 무엇인지, 당시 미행하던 용역업체 직원을 붙잡아 받았다는 자술서는 실제 있는지 등을 캐물었다. 박 회장이 미행설 관련 자료를 검찰에 제출했을 가능성도 크다. 검찰 관계자는 “박 회장 측이 그동안 언론에 그런(미행설) 얘기를 해 온 것은 뭔가 근거가 있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가 문건 작성·유출의 ‘배후’로 지목한 ‘7인회’와 박 회장 간의 관련성도 조사됐다. 박 회장은 “거론된 인사 중 일부는 친분이 있지만 그런 모임은 알지 못하고 나와는 상관없는 모임”이라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지호일 문동성 기자 blue51@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