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박지만 문건, MB시절 靑행정관 2명이 유출”

입력 2014-12-16 03:20 수정 2014-12-16 09:46
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위쪽)이 1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진행된 긴급 현안질문에서 황교안 법무부 장관에게 ‘박지만 문건’ 유출경위서에 대해 질의하고 있다. 박 의원은 유출 당사자로 이명박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행정관 2명을 지목했다. 김지훈 기자

임시국회 첫날인 15일 여야는 긴급 현안질의를 통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을 놓고 날카롭게 대립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이 박지만 EG 회장 동향을 담은 것으로 알려진 ‘박지만 문건’을 이명박정부 시절 청와대에 근무했던 행정관들이 유출했다며 새로운 내용을 폭로해 파장을 일으켰다. 여야 사이에는 고성과 삿대질이 난무하며 험악한 분위기도 연출됐다.

◇박범계, ‘유출경위서’ 공개=박 의원은 “세계일보가 3차례 청와대 문서를 입수했는데 그중 2건의 문건을 입수한 직후 유출 경위에 대한 동향 보고서가 만들어졌다”며 ‘BH(청와대) 문서 도난 후 세계일보 유출 관련 동향(유출경위서)’을 공개했다.

경위서에 따르면 세계일보는 지난 3월 말 청와대 행정관 비위동향 문건을 최초 입수했다. 당시 제보자는 ‘대서특필’을 부탁하면서 이 문건을 넘겨준 것으로 적혀 있다. 이어 5월 8일에는 세계일보가 박 회장과 부인 서향희 변호사 등의 동향을 적은 128쪽 분량의 ‘박지만 문건’을 추가로 입수한 것으로 적혀 있다.



박 의원은 “(유출경위서에는) ‘앞으로 유출될 문건에 박지만 문건보다 더 민감한 게 있더라’ ‘청와대가 개판이더라’는 등의 내용이 있었다”며 “세계일보로 3, 4차 추가 자료 제공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니 신속한 조사로 유출자를 처리하고 아직 제공되지 않은 문건을 회수해야 한다고 적혀 있다”고 말했다.

문건 유출 경로에 대해서는 “이명박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함께 근무하던 두 명으로부터 시작됐다”며 “한 명은 지금도 민정수석실에, 다른 한 명은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실에 근무 중이라고 한다”고 폭로했다. 박 의원은 “정윤회 문건과 박지만 문건은 동일한 주체가 작성한 것”이라며 “당시 박지만 문건의 보도가 예고돼 있고, 정윤회 문건도 (유출이) 예고돼 있는데 정호성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조차 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유출경위서는 검찰에 제출됐다”며 “검찰 수사 결과 유출자가 누구인지 밝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비서관이 보고조차 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선 “정 비서관이 묵살한 적이 없고 오히려 (민정수석실에 넘겨) 빨리 조사하라고 했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문건 유출 경로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 관계자는 “(박 의원이 밝힌) 유출 경위는 수사팀이 조사한 내용과 전혀 다르다”고 말했다. 검찰은 문건 전달경로를 뒷받침할 만한 진술과 물증을 모두 확보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진땀 뺀 정부·여당=새누리당은 이번 사건을 검찰 수사에 맡겨야 한다며 방어막을 쳤다. 김진태 의원은 “근거 없이 대통령을 중상모략하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부정하는 정당(통합진보당)에까지 손을 뻗치는 게 제1야당의 현주소”라며 “이러니 ‘종북숙주’ 소리를 듣는 것”이라고 공격했다. 새정치연합 박지원 비대위원의 방북을 놓고는 “DJ(김대중 전 대통령) 5주기 때는 북한 가서 (조화를) 받아왔는데, 국회의원이 김정일·김정은의 조화 배달 심부름꾼이냐”고 자극했다. 야당 의석에선 “공부 좀 해라” “창피한 줄 알아라”는 등 조롱과 야유가 터졌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확산되고 있는 것에 대해 “확인되지 않는 사실과 풍설을 갖고 논란을 벌이는 것은 소모적이고 피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대통령 측근들의 사직을 건의해야 한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 “부적절한 처신을 한 사람은 일벌백계한다고 (대통령이) 말했기 때문에 일단 수사 결과를 지켜봐 달라”고 답했다.

황 장관은 청와대 문건 유출 당사자로 지목받던 최모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과 관련해 “안타까운 일이 벌어진 점에 대해선 큰 유감을 갖고 있다. 우리가 잘 조사했어야 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전웅빈 임성수 기자 imung@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