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시민선거인단 관련 데이터를 전부 분실해 내년 2월 8일 치러지는 전당대회에서 사실상의 ‘프라이머리’가 불가능하게 된 것으로 확인됐다. 당규에는 반드시 시민선거인단 투표를 반영토록 돼 있어 2·8전대 자체가 당규 위반으로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친노(친노무현)계의 한 의원은 15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당의 중요한 자료가 소실됐다”면서 “2012년 당시 시민참여 경선에 참가했던 36만여 시민선거인단 데이터가 모두 없어졌다”고 밝혔다. 그는 “누군가 의도적으로 폐기한 것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면서 “검찰에 수사의뢰를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곤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위원장도 데이터 분실 사실을 인정했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CD 형태로 보관했는데, (당사를) 이전하면서 없어진 건지, 누가 고의로 없앴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17일까지 찾아보기로 했다”고 했다.
차기 전당대회에서는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결과가 전체 선거인단의 70∼80%를 차지한다. 시민선거인단 투표 결과는 새정치연합 당규에 따라 나머지 20∼30% 가운데 6분의 1이 반영된다. 결국 당원이 아닌 일반 시민이 직접 투표에 참여하는 프라이머리가 완전히 무산된 셈이다.
시민선거인단의 경선 참여는 2012년 일반국민의 정치 참여를 당내 선거에 반영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당시 두 차례 당 대표와 대선후보 경선에서 활용됐으며, 세 번의 당내 경선에서 당 대표로 한명숙·이해찬 의원, 대선후보로는 문재인 비대위원 등 친노계 인사가 모두 당선됐다. 시민참여 정당을 표방해온 친노 진영이 이번 데이터 분실을 ‘고의’로 보는 이유다.
한편 새정치연합 전준위는 계파 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부딪히는 선거인단 구성 비율 결정을 18일로 미뤘다. 선거인단 구성의 경우 친노계는 ‘대의원 40%, 권리당원 30%, 일반당원·국민 30%’, 정세균계는 ‘대의원 50%, 권리당원 30%, 일반당원·국민 20%’, 비노계는 ‘대의원 30%, 권리당원 50%, 일반당원·국민 20%’ 안을 고수하고 있어 전준위 내부에서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전준위는 또 다음 달 7일 예비경선(컷오프)을 거쳐 당 대표 결선 후보자를 3명으로 압축해 본선에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 경우 이른바 ‘빅 3’로 불리는 정세균 박지원 문재인 비대위원이 그대로 본선에 진출할 가능성이 커 논란이 일고 있다. 당내에서는 비주류 의원을 중심으로 컷오프 통과자를 4명으로 늘리거나 아예 폐지하자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비주류 의원들은 즉각 반발했다. 당 대표 출마를 검토 중인 박주선 의원은 “컷오프는 불공정하다”고 했고, 김영환 의원도 “이번 결정으로 어떤 변화와 혁신도 어려워졌다”고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 시민선거인단 36만명 데이터 모두 분실… 내년 2·8전대 비상
입력 2014-12-16 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