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서도 “靑 쇄신·소통해야”

입력 2014-12-16 03:17 수정 2014-12-16 09:41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일파만파 번지는 상황과 맞물려 여권에서도 청와대 쇄신과 소통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양상이다.

새누리당 출신인 정의화(사진) 국회의장은 15일 국회에서 정홍원 국무총리와 최경환 경제부총리, 황우여 사회부총리를 만나 박근혜 대통령의 ‘소통 부족’을 공개적으로 문제 삼았다. 정 의장은 “(대통령이) 국회와 적극 소통해야 하고 시정할 부분이 있으면 시정을 요구하는 게 국회가 할 일”이라며 “그동안 몇 번 의견을 전달했지만 너무 그런 게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정 의장은 “(박 대통령에게) ‘연말에 의장 공관에 한번 오시면 저녁을 대접하고 싶다’는 제안도 했지만 ‘다음 기회로 미루자’는 말씀이 있었다”고도 했다.

최 부총리가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이 (국회에서) 낮잠을 자고 있는데 꼭 좀 통과시켜 달라”고 하자, 정 의장은 “낮잠을 즐기는 것 아닌가”라고 맞받아쳤다. 그는 “대통령께서도 꼭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직접 전화하거나 청와대에 초청해 설명하는 노력을 해줬으면 좋겠다. 법안을 던져놓고 ‘국회가 알아서 하겠지’ 이런 것보다는…”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문건 파동에 대응하는 청와대의 상황인식이 안이하게 느껴진다”고 작심 발언을 했다. 김 최고위원은 “문건의 유출 경로만 밝힌다 해서 이 문제가 조용해지리라 생각한다면 오산”이라며 “청와대는 왜 이런 사건이 발생했는지 근본 원인부터 찾고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쇄신책을 내놔야 한다”고 했다.

청와대 문건 유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던 서울지방경찰청 정보1분실 최모 경위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데 대해선 “유서로 남긴 부분에 대해서도 철저히 사실을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