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분산개최는 의미가 없다”며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한국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한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평창조직위에 대한 분산개최 압력을 그만둘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15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미 각 경기장의 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IOC의 분산개최 제의를 거절했다. 아울러 관계 부처에 IOC 설득 논리를 개발해 대응하라고 주문했다.
박 대통령의 강력한 지원 사격으로 평창조직위는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정부 차원에서 분명한 거부 입장을 밝힌 것이어서 앞으로 IOC 압력에 대해 좀 더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는 힘을 얻게 됐다. 박 대통령이 분산개최는 없다고 못 박은 것은 이를 둘러싼 국론 분열과 국제적 논란을 조기에 불식시키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하지만 올림픽 개혁안 ‘어젠다 2020’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분산개최 압박을 멈출 것으로 보는 체육계 관계자는 많지 않다. 어젠더 2020을 통과시킨 모나코 총회에서 IOC의 강경한 입장이 이미 확인됐기 때문이다.
우선 IOC는 예고한 대로 이번 주 안에 썰매 종목의 외국 분산개최 후보지 12곳을 평창 조직위에 보내올 예정이다. 이후 평창올림픽의 준비 차질과 유치 당시 약속 위반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
평창올림픽 개최와 관련해 6개 신축 경기장의 전체 공정률은 10%가 채 되지 않는다. 스폰서와의 계약도 당초 목표로 했던 8700억원의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평창조직위는 2011년 올림픽 유치 당시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을 내놓았지만, 현재로서는 모두 지켜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 정부와 평창조직위가 이런 문제들에 대해 IOC를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사실 IOC가 집요하게 물고 늘어질 경우 평창조직위로서는 사과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분산개최는 IOC가 내년 1월 15∼16일 평창 준비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실시하는 ‘프로젝트 리뷰’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IOC가 한국이 분산개최를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올림픽 개최국에 대한 보조금 지원 확대 또는 지금까지 투입된 썰매 경기장 건설비의 일부 보상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민족운동단체연합 등 국내 민간단체들은 이날 남북 공동개최를 제안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평창올림픽 분산개최 논란 사그라들까
입력 2014-12-16 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