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에 개성공단 물류단지 조성 탄력

입력 2014-12-16 02:24

경기도 파주나 고양시 지역에 개성공단 물류단지가 조성될 가능성이 한결 높아졌다.

경기도는 개성공단 가동 10주년을 맞아 15일 고양시 대화동 킨텍스에서 개최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과의 간담회(사진)에서 입주기업 대표들이 요구한 물류단지 조성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에이제이테크의 유창근 대표는 간담회에서 “바이어의 신뢰 확보와 물류 이동의 기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물류단지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면서 개성공단 인근 물류단지 조성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입주기업들의 요구에는 충분한 타당성이 있다고 본다”며 경기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파주나 고양시를 물류단지 조성의 적합지로 추천했다.

임창열 킨텍스 대표는 “킨텍스 주변에 물류단지를 만들 수 있는 유휴지가 많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관련 경기도 공무원과 도의원, 입주기업 대표 등 50여명이 참석한 간담회에서는 물류단지 조성 외에도 자금 및 보증지원, 판로지원, 상설전시관 설치, 개성의료원의 긴급출경 시 소방헬기 지원 등 다양한 요구사항들이 쏟아졌다.

특히 협진카바링의 이상협 대표는 “현재의 자금지원과 보증지원으로는 기업 운영에 애로가 많다”면서 보증기관의 신용평가기준 완화, 이자율 보전, 경영안정자금의 상환유예 등을 요청했다.

남 지사는 “복잡한 국제정세 속에서도 한반도가 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개성공단의 역할이 크다”며 “경기도는 개성공단의 환경을 예측 가능하도록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성공단기업협회 이희건 수석부회장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2004년 공식 가동된 개성공단은 북측에는 개혁·개방 효과와 제조업 중심의 시장경제 시스템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남측에는 중소기업들의 판로 확보와 해외진출 기업들의 국내회귀를 유도하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개성공단에는 125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그 중 35개사가 경기도에 본사를 두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개성공단 중단사태 때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별경영안정자금 16억원, 신용보증 8억원을 지원했다.

고양=정수익 기자 sag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