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李 부글부글… 이완구 “정권 청문회 아니다” 달래기

입력 2014-12-13 04:07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완구 원내대표가 여야 ‘2+2 회동’에서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를 수용한 뒤 친이(친이명박)계가 부글부글 끓고 있다. 이 원내대표는 ‘정권’이 아닌 ‘사업’별 국조 방침을 분명히 하면서 진화에 나섰다.

이명박정부에서 청와대 비서관을 지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12일 원내현안대책회의에 참석해 “자원외교는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정부에 이르기까지 15년 이상 지속됐다”며 “그 과정을 돌아보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국조라면 해볼 필요가 있지만 이명박정부에 국한한 국조는 국민의 정치혐오증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명박정부가 추진한 사업에 한해 국조를 진행하자고 주장한 데 따른 반박이다. 권 의원은 이어 “정치적 목적을 갖고 한 국조는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대통령의 대변인격인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도 CBS라디오에 출연해 “어처구니가 없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김 전 수석은 “자원외교에 비리가 있다면 조사해서 엄정히 처벌하면 되는데 국조에 합의했다는 것은 정치적 목적이 숨어 있다고 봐야 한다”면서 “(비선실세) 문건 논란이 덮어질 것이라고 본다면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자원외교 주무 부처였던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무책임한 정치 공세에 여당이 동조했다며 불만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안팎에서 비판이 쏟아지자 이 원내대표가 수습에 나섰다. 그는 “사업이 적절했는지, 타당했는지를 보는 게 합리적이지 어떻게 정권별로 잘라서 할 수 있느냐”면서 “정권 청문회도 아니고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다. 이는 대야용 발언이라기보다 친이계를 달래기 위한 언급으로 풀이된다. 이 원내대표는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간다”고 난감해했다.

새정치연합은 자원외교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았던 이 전 대통령을 증인으로 세우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측근들에게 “잘못한 게 없는데 겁날 것이 없다. 당당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고 한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이 실제 증인으로 출석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친이 측 인사는 “국조를 시작하기도 전에 전직 대통령부터 물고 늘어지는 건 정치공세로밖에 해석이 안 된다”고 말했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부동산 3법 등의 처리가 절실한 새누리당 지도부 입장에서도 당내 분란을 불러올 수 있는 문제여서 조심스럽다. 김 대표와 이 전 대통령의 신년 회동이 성사되면 자연스럽게 자원외교 국조에 대한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