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열며-박강섭] ‘올해의 관광도시’ 기대된다

입력 2014-12-13 02:20

‘2017년 올해의 관광도시’ 선정을 앞두고 지자체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의 관광도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관광의 잠재력이 큰 중소도시 3곳을 선정해 콘텐츠 개발과 컨설팅 등에 3년간 각각 25억원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올해의 경우 충북 제천시, 경남 통영시, 전북 무주군이 선정돼 한국관광공사로부터 컨설팅을 받았고, 내년까지 콘텐츠 및 상품 개발을 완료한 후 3차년도인 2016년에 본격적으로 관광객을 맞게 된다.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로 탄생한 ‘올해의 관광도시’ 사업은 기존 관광지원 사업과 확연하게 궤를 달리한다. 그동안 문체부를 비롯한 각 부처는 지자체의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주로 하드웨어 구축 위주의 직접적 지원 방식에 의존했다. 지자체에서 박물관을 지으면 건축비를 지원하고, 관광지를 조성하면 기반공사 비용을 분담하는 식이었다.

소프트웨어 분야 지원도 단발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2004년에 시작, 지난해 종료된 ‘지역방문의 해’ 사업이 대표적이다. 선정된 광역지자체는 1년 동안만 예산 지원을 받았고, 이 예산은 시스템을 구축하기보다 관광객 유치 보조금 등 소모성 예산으로 사용됐다. ‘지역방문의 해’에 이어 탄생한 ‘올해의 관광도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체계적 준비와 내실 있는 행사를 유도하기 위해 공모를 거쳐 선정된 3개 중소도시에 2년의 준비기간을 준 것이다. 선정된 중소도시는 이 기간에 관광공사 등의 체계적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창조적인 사업을 발굴하도록 했다.

지역주민 참여를 통해 도시의 자생적 발전 기반을 구축토록 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지역방문의 해’ 사업은 지역주민이 소외된 가운데 행정기관 주도로 진행됐지만 ‘올해의 관광도시’는 지역주민이 사업 주체가 되도록 했다. 실제로 제천시를 비롯한 3개 지자체는 최근 지역주민단체 등으로 ‘품앗이 관광단’을 구성해 상호 교차 방문함으로써 수용 태세를 개선하고 벤치마킹을 하는 등 사업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원 예산을 콘텐츠 및 상품 개발, 환경 개선, 유휴시설 재생, 홍보 마케팅 및 이벤트 개최에 사용토록 한정한 것도 의미가 크다. 3년 동안 ‘올해의 관광도시’에 지원되는 25억원은 관광지에 주차장 하나 만들 예산도 못된다. 하지만 이를 콘텐츠 개발 등 프로그램 운영에 사용한다면 적은 예산으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문체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지난해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공동체 육성을 위해 주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관광두레’ 사업을 선보여 지역사회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관광두레’는 주민들의 주체적·자발적·협력적 참여를 바탕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는 주민기업을 창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광두레’가 성공적 출발을 한 요인은 주민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프로듀서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급여를 지급한 것이다. 공무원도 아닌 민간인 프로듀서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것은 그동안의 관례에 미뤄볼 때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지자체들은 여전히 소프트웨어보다 하드웨어 지원을 원한다. 지역에 그럴듯한 시설물이 들어서야 속된 말로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만든 관광 시설물이 관광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공동화돼 지자체와 주민의 부담으로 작용하는 사례가 적지 않은 현실이다.

관광산업에서 콘텐츠 개발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두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올해의 관광도시’ 사업이 지역민에게 물고기를 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모범 사례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박강섭 관광전문기자 kspar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