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방폐장 승인] 논의 29년 만에 첫 가동… 포화 방사성폐기물 처리 ‘숨통’

입력 2014-12-12 03:00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입구.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조감도.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이 운영 심의를 통과하면서 포화상태에 있던 중·저준위 방사능폐기물 처리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이 가동되는 것은 관련 논의가 시작된 지 29년 만에 처음이다.

국내에 저장돼 있는 중·저준위 방사능폐기물은 지난 6월 기준으로 12만2521드럼이다. 고리 영광(한빛) 월성 울진(한울) 등 4개 원전에 9만1871드럼이 있고, 연구소 병원 등에서 3만650드럼을 관리하고 있다. 여기에 보관된 중·저준위 방사능폐기물의 포화율은 한빛원전 96%, 한울원전 90%, 고리원전 83%에 이른다. 더 이상 저장할 공간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이번에 경주 방폐장 운영 심의가 극적으로 통과한 것이다.

원안위가 승인안을 의결함에 따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사용승인 신고, 최종 처분검사 등의 과정을 거쳐 월성원전 방폐물 2535드럼, 한울원전 1000드럼, 서울 노원구 도로 방사성폐기물 1496드럼 등 인수저장시설에 보관돼 있는 방폐물을 반입할 계획이다. 이어 각 원전에서 임시로 보관 중인 방폐물도 순차적으로 사일로에 반입해 처분할 방침이다.

여기까지 이르는 과정은 험난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2008년 9월부터 올 8월까지 81차례나 검사를 수행해 경주 방폐장이 안전 요건을 갖췄다는 결과를 내놓았지만 안전에 대한 우려는 계속됐다. 특히 지진 등 불확실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경주 방폐장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지난달 13일 열린 제31회 회의에서도 이 같은 문제에 대한 난상토론이 이어지다 의결이 연기됐었다.

지난 6월 완공된 경주 방폐장은 폐기물을 담은 드럼통(두께 10㎝)을 밀봉해 대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사일로·두께 1∼1.6m)에 넣고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싼 다음 암반동굴에 묻는 방식이다. 규모 6.5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게 만들어졌다. 이번 원안위 회의에서는 이런 경주 방폐장의 안전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종인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하기도 했다. 원안위 관계자는 “원자력의 발전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이 이뤄지는 체계가 완비됐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원안위가 경주 방폐장의 사용을 승인하자 경주지역 주민들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주민 김형길(49)씨는 “방폐장 사용 승인으로 경주시의 세수가 늘어나는 등 아무래도 얻는 것이 많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경주=김재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