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이 착공 7년 만에 운영에 들어간다. 정부와 경북 울진군이 지난달 21일 신한울원자력발전소 건설 협상을 15년 만에 타결한 데 이어 주민들과의 갈등으로 막혔던 원전의 숨통이 잇따라 트인 것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11일 서울 세종대로 원안위 회의실에서 제32회 회의를 열고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사용 전 검사 등 결과’를 심의해 방폐장 운영안을 승인했다. 이은철 위원장을 제외하고 위원 8명이 표결에 참여, 찬성 5표와 반대 3표로 원안을 통과시켰다. 경주 방폐장은 원자력발전소, 병원, 산업체 등에서 발생한 방사능 폐기물을 보관하는 시설이다. 80만 드럼 규모의 방사능 폐기물을 보관할 수 있다.
이 시설은 2008년에 옛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운영 허가를 받은 상태였다. 다만 당시 제기됐던 안전 관련 문제들을 먼저 해결한 뒤 최종 승인을 다시 받는다는 조건이 달려 있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난 9월 경주 방폐장이 기술 기준과 법령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원안위에 제출했다.
경주 방폐장 운영 승인으로 원자력발전소, 연구소, 병원 등에 흩어져 관리되던 중·저준위 방사능 폐기물은 이곳으로 옮겨져 관리된다. 원안위 관계자는 “처분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주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경주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운영 승인
입력 2014-12-12 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