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먹거리 ‘MRO’… 청주냐 사천이냐

입력 2014-12-12 02:27
차세대 유망 사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항공기정비(MRO) 산업단지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충북 청주, 경남 사천, 전남 무안, 인천 등 전국 지자체들이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어 과열 경쟁으로 인한 후유증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연간 파급 효과가 6조6000억원에 달할 정도로 MRO 단지가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항공정비 산업단지 조성, 항공정비 전문회사 설립 등을 지원하는 종합 대책을 준비해 내년 1월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는 항공정비 산업단지로 지정될 경우 도로 등 기반시설 확충과 입주회사에 대한 각종 세제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국내 MRO 사업은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양분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민항기 중정비 분야에서 대형항공기인 보잉의 B747 항공기 4대를 동시에 정비할 수 있는 시설을 김해공항 내 테크센터에 갖추고 있다. KAI는 본사가 있는 사천과 청주공항 등에 MRO 산업단지 조성할 예정이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청주공항 인근 에어로폴리스 47만㎡ 규모의 부지에 오는 2020년까지 1569억원을 투자해 MRO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청은 충북도에 이어 청주시가 예산 확보를 마무리하면 내년 1월 입찰공고를 내고 3월에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의회는 시가 올린 MRO사업비 120억5000만원에 대해 심의 중이다.

하지만 KAI가 사천에서 MRO 사업을 확대 추진할 것으로 알려져 지역갈등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충북과 경남이 KAI 유치냐, 사수냐를 놓고 정면대결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KAI가 충북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충북으로선 거액의 혈세만 낭비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사천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사천시에 KAI와 수많은 항공관련 협력업체가 있어 우리나라 미래 항공우주산업을 이끌어 나갈 지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시는 900억원이 예상되는 KAI 본사 주변의 땅을 매입해 MRO 사업을 유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수도권에서 가장 근접해 대체항공으로 활용될 수 있는 청주공항에 MRO단지가 조성되는 것이 적합하다”며 “KAI 등 MRO 선도기업과 입주 협약 체결로 MRO 단지 조성이 가시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천·청주=이영재 홍성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