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정수봉)는 정씨의 고소 내용을 확인하는 한편 일명 ‘십상시(十常侍) 모임’의 실재 여부, 청와대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비서관 등과 교류 정도를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씨는 문건이 악의적으로 작성된 배후로 민정수석실을 지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씨는 세계일보가 문건을 보도한 뒤 박 경정과 통화했고, 이때 “박 경정이 ‘위에서 시키는 대로 했다. 타이핑한 죄밖에 없다’고 말했다”고 폭로했었다. 이에 검찰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에 조사를 받으러 나와 있던 박 경정과 정씨를 한 방에 불러 대질하기도 했다.
또한 모든 의혹의 출발점이 된 ‘제보자의 제보자’ 역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박 경정이 문건 작성의 계기가 된 ‘제보자’로 지목한 박동열(61) 전 대전지방국세청장을 압수수색해 박 전 청장의 정보 출처까지 어느 정도 파악한 상태다. 박 전 청장에게 정보를 제공한 이 중에는 청와대 인사가 없고, 한 소형 광고회사 대표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청장이 얘기를 들었다는 이들은 사인(私人)”이라고 말했다.
다만 박 전 청장이 문건 작성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함에도 검찰이 그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한 것은 청와대 관계자와의 연결고리가 포착됐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서울의 한 부장검사는 “통화기록 등을 조회하는 과정에서 연락을 주고받은 흔적이 나왔을 수 있다”며 “박 전 청장과 김춘식 행정관이 부인하는 부분에 의심스러운 상황이 있어 압수수색을 한 듯하다”고 추측했다.
이경원 정현수 기자
neosar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