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부터 설레서 잠을 못 잤어요. 말의 머리카락이 정말 부드러워요.”
한빛맹학교 1학년 한동현(7)군은 신기한 듯 말을 쓰다듬었다. 교사의 도움을 받아 손바닥으로 말의 머리와 다리, 배와 엉덩이를 만지면서 “따뜻하고 포근하다”고 깔깔대며 웃었다.
10일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옆에 마련된 하얀 텐트. 잠실 ‘화이트 빅탑 씨어터’에 서울 강북구 한빛맹학교 1∼3학년 16명이 ‘블라인드 터치 투어’에 참여하기 위해 모였다. 이곳에서 공연 중인 아트서커스 ‘카발리아’ 팀이 시각장애 아동을 위해 백 스테이지를 공개한 것이다.
서로 손을 잡고 백 스테이지 마구간에 들어선 어린이들은 발굽에 편자를 박는 방법을 배우고 건초와 곡물 사료, 당근이 담긴 말 밥그릇도 직접 챙겼다. 말을 직접 쓰다듬고 빗질해주는 시간에는 이곳 저곳에서 웃음소리가 터져 나왔다. 안장관리소에서는 직접 영국식 안장과 서양식 안장 두 종류에 앉아 말을 잘 타는 방법을 익히면서 서로 장난을 쳤다. 말을 관리하는 수의사 지도에 따라 헨리와 킨더 두 마리의 심장소리를 청진기로 들어보기도 했다.
“자, 모두 조용히 말이 뛰는 소리에 집중해보세요. 지금 6마리 말이 여러분 주위를 원을 그리며 달리고 있어요. 다같이 ‘워∼’ 소리를 내면 말이 멈출 거예요. 하나, 둘, 셋!”(기수 페어랜드 퍼거슨)
오후 공연을 앞두고 연습을 하던 6마리의 말이 질주하는 모습을 구경해보는 시간도 있었다. 말은 시속 45㎞로 뛰어다녔고 청각과 공기의 흐름을 통해 고스란히 느꼈다. 김서빈(7)양은 “말이 우리를 보고 좋아서 따라오는 것 같다”며 “참 아름답다”고 감탄했다. 초반엔 자기 몸보다 서너 배 커다란 동물을 직접 만지는 것에 두려움을 느꼈던 아이들도 1시간여 진행된 행사 후에는 친근하게 대하며 장난치는 모습도 보였다.
3학년 담임 전성우(31) 교사는 “시력을 가진 아이들보다 동물을 대할 기회가 무척 적은 시각장애 아동이기 때문에 행사가 뜻 깊다”며 “학교로 돌아가기 싫어할 정도로 말과 친해졌고 함께하는 시간을 즐거워했다”고 했다.
아트서커스 ‘카발리아’는 인간과 말의 교감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으로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 모인 말 50마리와 캐나다 프랑스 벨기에 등 다국적 기수·곡예사 46명이 만들어내는 하모니가 특징이다. 캐나다에서 시작해 미국 등 미주지역, 유럽과 호주, 중동을 거쳐 내한했다. ‘태양의 서커스’ 공동 설립자인 노만 라투렐이 연출했고 지금껏 전 세계에서 2500회 이상 무대를 꾸몄고 400만 관객을 만났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아트서커스 ‘카발리아’팀, 시각장애 아동위해 백 스테이지 공개
입력 2014-12-11 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