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논란 속에 강원도 시민사회단체들이 분산개최를 지지하고 나서 논란에 불을 지피고 있다.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0일 성명을 통해 “현재 평창동계올림픽은 아무런 재정대책도 없이 벼랑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면서 “재정악화를 최소화하고 환경훼손을 막을 수 있는 IOC의 분산개최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강원평화경제연구소도 성명을 내고 “강원도가 내걸었던 흑자올림픽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강원도 지방채 발행에서 보이듯 허망한 목표가 돼 가고 있다”면서 “올림픽이 끝난 뒤 떠안게 될 1조억원이 넘는 부채는 강원도의 ‘재앙’이 될 것이다. 분산개최를 과감히 검토하자”고 주장했다.
평창과 동계올림픽 유치를 놓고 한때 경쟁을 벌였던 전북 무주에서 “활강경기를 분산개최하자”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전북도의회는 지난달 말 ‘가리왕산 활강 경기장 조성사업 전면 철회 및 무주리조트 활강 코스 보완 활용 건의안’을 채택했다. 당시 도의회는 건의안에서 “1997년 무주 동계 U대회를 치렀던 무주리조트는 국제 규격의 활강코스를 갖춰 일부 보완만 하면 국제스키연맹이 규정하는 요건을 충족해 대회를 치를 수 있다”면서 “올림픽 경기를 분산개최하면 가리왕산의 산림 파괴를 막고 개최에 드는 예산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강원도는 “분산개최는 절대 있을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10일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IOC가 제안한 분산개최는 실효성과 실현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국내 분산개최 여론에 대해 최 지사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 무주로 분산개최하면 무슨 실리가 있는지 모르겠다”면서 “올림픽은 국민과 국가를 통합하는 수단인 만큼 갈등을 일으키는 섣부른 분산개최 주장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착공한 슬라이딩센터 공정률은 설계를 포함해 25%에 이른다. 경기장에는 실시설계와 인허가 비용, 보상비, 공사비 등으로 지난달 말까지 250억원이 투입됐다. 분산개최로 건설공사 폐기 시에는 산림복구비 150억원, 위약금 190억원 등 총 공사비용 1228억원의 절반에 달하는 610억원의 매몰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목소리 커지는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
입력 2014-12-11 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