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대관팀 소속 직원은 국회와 정부부처, 검찰·경찰·국세청 등을 드나들면서 정부·정치권과 해당 기업의 소통 역할을 한다. 이들은 평상시에는 해당 부처의 현안을 챙기고, 기업과 밀접히 관련된 분야의 정책 움직임 등을 파악해 보고한다. 이 때문에 대관팀은 기업 경영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외부 변수에 민감하게 대응한다. 민·형사상 소송, 사업 규제, 정부정책 등 중대 현안에 대처해 기업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정책 수립과 입법 과정에서 자사 이익을 반영하기 위해 학연, 지연, 혈연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바쁘게 움직인다. 비공식적인 로비팀 성격도 강한 셈이다.
대관팀은 또 기업의 기획, 마케팅, 영업, 서비스 등 다른 부서가 해결할 수 없는 업무를 떠맡아 은밀하게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국정감사 기간에 여야 국회의원들이 기업 오너를 증인으로 채택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경우 이를 무산시키거나 임원을 대타로 세우기 위해 치열한 물밑작업을 벌이기도 한다. 관리 대상이 되는 공무원이나 국회 보좌진의 편의를 몰래 봐주며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 기업 대관업무 종사자들은 국회 보좌진이나 공무원, 기자 출신이 다수를 차지한다. 기업별 대관업무 담당자들의 인력풀이 좁고, 오랜 기간 같은 업무를 하다 보면 대관업무 담당자들끼리 끈끈한 인맥이 형성되기도 한다.
대관업무 담당자들이 모여 서로가 갖고 있는 정보를 교환하는 일도 있다. 검찰의 압수수색 대상이 된 한화의 대관 담당자가 관련 정보를 타 기업 관계자와 공유했을 경우 검찰의 수사 범위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