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아세안 정상회의 12월 11∼12일 부산서 개최

입력 2014-12-09 02:38

한·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가 11∼12일 부산 벡스코 등지에서 개최된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한국에서 개최되는 첫 다자 정상회의이자, 아세안 10개국 정상이 모두 참석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다.

우리나라에선 2009년에 이어 5년 만에 열리는 특별정상회의로, 올해는 1989년 아세안과 대화관계를 수립한 지 25주년이다. 아세안이 회원국이 아닌 국가에서 특별정상회의를 개최한 것은 한국과 일본뿐이다.

정부가 아세안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이들 회원국이 전 세계 경제 및 정치·안보 분야에서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세안을 ‘우군’으로 단단히 잡아두겠다는 포석인 셈이다.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시장성이다. 내년 말 ‘아세안 경제공동체’가 출범하면 총인구 6억3663만명, 역내총생산(GDP) 2조4000억 달러(2670조여원)의 단일시장이 형성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 아세안의 경제 성장은 꾸준히 증가해 ‘포스트 차이나(China)’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 경제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낳는 대목이다.

우리나라에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가장 중요한 경제협력 파트너이기도 하다. 지난해 총 교역량 1조 달러 중 대(對)아세안 교역량이 1353억 달러였다. 전체 교역액의 13%를 차지하는 규모로 중국에 이어 2위다. 유럽연합(EU), 미국, 일본보다도 많다.

정치·안보분야 파트너로서도 아세안의 역할은 중요하다. 아시아 유일의 다자 안보협의체인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을 비롯해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 역내 지역공동체 논의를 주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아세안 10개국 모두 북한과 수교국이기도 하다. 지난달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채택 당시 대다수가 ‘기권’표를 던졌다. 그만큼 정부로선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통일 정책을 펴가는 데 이들의 지지가 필요하다.

아세안의 정치·외교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해부터 앞 다퉈 아세안 순방에 나서기도 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우리도 아세안과의 안보 대화를 정례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한·아세안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 차원 더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