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도 오르고 금연구역도 확대되고….”
내년부터 정부가 담뱃값을 2000원 인상한다는 소식으로 금연클리닉을 찾는 애연가들의 발걸음이 늘고 있다. 금연을 하자니 자신이 없고 가격이 껑충 뛴 담배를 계속 피우자니 돈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8일 충북 청주시 서원보건소 내 금연클리닉은 이른바 ‘골초’ 탈출에 도전하는 애연가들의 상담과 문의가 이어졌다. 지난 8월부터 4개월간 이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참여한 신청자는 모두 553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337명에 비해 64%나 늘었다.
46년간 하루 한 갑 이상 흡연을 해온 오모(65·청주 사창동)씨는 신경증 등 금단 증상이 심해 금연클리닉을 찾게 됐다. 오씨는 “내년부터 담뱃값도 오르는데 손자 용돈을 벌려고 담배를 끊기로 했다”며 “나이 먹어서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피해 담배를 피우는 것도 힘들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금연클리닉 참가자 박모(42·청주 모충동)씨도 “건강도 챙기고 용돈을 줄이려고 금연에 도전한다”며 “하루에 한 갑이면 1년에 160만원이 넘는 돈을 줄일 수 있는 만큼 금연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 것 같다”고 전했다.
이런 금연 열풍은 담뱃값 인상 때문이기도 하지만 금연구역 확대 등 환경적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내년 1월 1일부터 면적에 관계없이 모든 음식점이 전면 금연구역으로 확대 시행된다. 흡연을 하다 적발되면 흡연자에게는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업주는 흡연구역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를 내야한다.
전자담배로 금연을 해보려는 흡연자들이 적지 않지만 이마저도 부담이다. 전자담배도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지방세법의 세금 부과 대상이어서 내년부터 전자담배 가격도 오를 전망이다. 게다가 최근 전자담배에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일반 담배보다 10배 이상 많다는 일본 국립보건과학의료원의 연구결과도 나온 상황이어서 더욱 꺼림칙하다.
결국 스스로의 의지로 담배를 끊거나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도움을 받는 수밖에 없어 금연클리닉으로 흡연자들이 몰리고 있다. 지난 9∼10월 전국에서 9만1855명이 지자체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6만475명)보다 51.6% 증가한 수치다. 대구 달서구 보건소의 경우 하루 평균 방문자가 평소보다 배 이상 급증했고, 부산 북구 보건소는 평소 20여명에 불과하던 금연 상담자가 60여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
보건소에서는 금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금연 프로그램 참가자에게는 6개월간 9회 이상의 상담 서비스와 금연용 패치, 사탕, 껌 등 금연보조제가 무료 제공된다. 또 금연 교육, 니코틴 의존도 검사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지원한다.
반면 담배 사재기를 하는 얌체족도 여전하다. 정부는 담배 도·소매업자들이 사재기를 하다 적발되면 2년 이하 징역 혹은 5000만원 이하 벌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편의점 등에선 담배 판매대에 ‘1인당 담배 1보루(10갑) 판매’라고 써 붙여 놓고 있다. 하지만 편의점을 돌아다니며 1보루씩 사서 모으고 있는 흡연자들까지 막지는 못하고 있다.
서원보건소 박현숙(50·여) 금연상담사는 “정부의 담뱃값 인상이 발표되면서 금연에 도전하는 흡연자들의 상담과 문의가 늘고 있다”며 “금연은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만큼 확실한 동기부여가 성공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청주=글·사진 홍성헌 기자· 전국종합 adhong@kmib.co.kr
“이참에 끊자”… 금연클리닉 문전성시
입력 2014-12-09 02:35 수정 2014-12-09 1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