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평창올림픽 경제·환경 감안한 조율 필요하다

입력 2014-12-09 02:40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준비가 지지부진한 틈을 타고 일본과의 분산 개최 가능성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토마스 바흐 위원장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2020 도쿄하계올림픽의 경기장을 한국과 일본이 서로 나눠 치르게 할 생각이 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이어 다케다 쓰네카즈(竹田恒和)일본올림픽위원회(JOC) 회장도 7일 “만약 이야기가 있으면 (1998년 동계올림픽이 열렸던) 나가노(長野)를 포함해 검토하겠다”고 말했다고 아사히신문이 8일 보도했다. 정부와 평창올림픽조직위원회 측은 “모든 경기장이 착공에 들어간 상황이고, 국민정서를 고려해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서 분산 개최에 일단 부정적 의견을 밝혔다.

IOC와 일본의 이런 제안은 물론 적절한 타이밍을 놓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이 하계올림픽의 인기 종목 가운데 얼마나 우리나라에 양보할지도 미지수다. 그렇지만 우리는 평창동계올림픽의 한·일 분산 개최가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난관, 유휴시설 관리의 어려움, 환경훼손 우려에 모두 효율적으로 대처할 대안이라고 본다. 또한 동·하계올림픽 분산 개최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진 양국 관계 해빙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하계올림픽 일부 종목의 분산 개최가 이뤄지면 내년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양국 우호의 상징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바흐 IOC 위원장은 분산 개최의 이점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후 활용성이 미흡한 경기장 건설을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IOC가 경기장 건설 지연과 관련해 일부 종목의 해외 개최를 평창올림픽조직위에 조언했다”면서 나가노시(市)에서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의 분산 개최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나가노는 이 경기들을 위해 ‘스파이럴’이라는 복합경기장 건설에 1000억원을 투자했지만 현재 거의 이용되지 않아 연간 18억원의 유지비를 부담하고 있다. 만약 나가노에서 이들 종목을 유치하면 현재 공정률이 6%에 불과한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건립에 들어가는 1200억원의 절반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조선시대부터 500여년간 국가가 보전해온 가리왕산과 대관령을 비롯한 경기장 부지의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가리왕산의 활강경기장 부지는 이미 벌목됐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경기장 건설을 멈춰야 주변 원시림 보전과 훼손지 복원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하계올림픽 인기종목 일부를 강원도에 유치하는 것을 전제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 IOC 및 일본과 협상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해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