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외교장관 회담 2014년 내 개최 불투명… 2015년 1월 서울서 열릴 듯

입력 2014-12-08 02:51
정부가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을 내년 초 여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목표였던 연내 개최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7일 “일본이 14일 중의원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후에는 내각 구성 등으로 3국 외교장관 회담 일정을 잡기가 촉박해 보인다”며 “연내 개최가 힘들어진 만큼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3국 외교장관 회담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에서 연내 개최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촉발됐다. 박 대통령은 13일 미얀마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선 “3국 외교장관 회담을 토대로 한·중·일 정상회담도 개최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일본도 한·중과의 관계 개선이 시급한 만큼 3국 외교장관 회담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관건은 중국 정부의 태도에 달려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문제를 두고 중·일 양국이 다시금 충돌하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3국 외교장관 회담 개최에 중국이 원칙적인 공감을 표시했지만 근래 중국 외교부 발언을 보면 일본에 대한 특정한 기류가 읽힌다”고 말했다. 실제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최근 정례브리핑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 및 정상회담 전망과 관련, “일본 측이 중·일·한 간 건강한 협력과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위해 실질적인 성의를 보이고 그런 분위기 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본다”는 입장만 계속 밝히고 있다. 지난달 중·일 정상회담에서 센카쿠 열도 관련 4개항 합의를 극적으로 이끌어냈으나 이후 일본 측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는 등 다른 태도를 보이는 데 중국의 반발이 커지는 양상이다.

정부는 가능한 이른 시일 내에 3국 외교장관 회담을 열기 위해 중국, 일본과 각기 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내년 음력설 전인 1월 내 서울 개최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3국 외교장관 회의는 2012년 4월 개최된 뒤 지금까지 2년8개월간 열리지 못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