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판매되는 수입제품 가격의 민낯이 공개됐다. 수입 향수와 여성 수영복의 국내 판매가는 수입가격의 8배에 달했다. 여러 가지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이 해외직구(직접구매)에 눈을 돌리는 이유다.
관세청은 15개 수입품의 올해 5∼7월 국내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수입가 대비 국내 판매가가 2.1∼8.4배로 나타났다고 5일 공개했다. 지난 4월 10개 품목의 가격 공개 이후 두 번째다.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품목은 여성 수영복과 향수로 각각 8.4배와 8.0배였다. 여성 수영복의 경우 평균 4267원에 들여온 저가 제품군이 국내에선 평균 4만5000원에 판매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페이스파우더(6.4배)와 가죽벨트(3.8배), 개 사료(3.8배), 초콜릿(3.5배), 선글라스(3.5배) 등이 뒤를 이었다.
15개 품목과 비슷한 종류의 국산제품의 출고가 대비 판매가격은 1.5∼6배 수준이었다. 수입품을 나눠서 살펴보면 공식수입물품보다는 병행수입물품이 평균 수입가는 높지만 국내 판매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공식수입품에는 홍보, 마케팅 및 각종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용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차 때 공개된 10개 품목을 다시 살펴보면 수입가격 대비 국내 판매가격은 2.4∼9.7배로 지난번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립스틱의 경우 1차 공개 때는 수입가와 판매가 차이가 약 9.2배였지만 이번에는 9.5배로 오히려 늘었다.
가격 뻥튀기가 심하다 보니 소비자들은 소위 ‘호갱’(호구고객) 탈출을 위해 해외직구로 몰리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해외직구 시장은 2010년 3000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1조원을 넘어섰고, 10월 현재 1조3500억원에 이른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이러니 해외 직구로 몰리지… 수입 향수·女수영복 값 8배 뻥튀기
입력 2014-12-06 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