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59)씨 ‘국정개입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정수봉)는 4일 오후 청와대 측 고소인 중 1명인 김춘식 국정기획수석실 산하 기획비서관실 행정관을 소환해 조사했다. 김 행정관은 유출된 청와대 문건에서 정씨와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 10명이 정기적으로 만날 때마다 ‘연락책’을 맡았다고 특정된 인사다.
검찰은 김 행정관에게 실제 그런 모임을 가졌는지, 서로 연락을 주고받은 사실이 있는지 등을 확인했다. 김 행정관은 “문건에 적혀 있는 식당에는 가본 적이 없고, 정윤회씨 얼굴도 모른다. 박관천 경정이 왜 나를 연락책으로 지목했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조응천(52)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에게 참고인 신분으로 5일 오전 10시 출석토록 통보했다. 조 전 비서관은 문건 작성 경위를 수사하는 형사1부를 거쳐 문건 유출 경로를 수사 중인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에서도 조사를 받게 된다.
조 전 비서관은 문건 작성·유출자로 지목된 박관천(48) 경정의 청와대 직속상관이었다. 박 경정에게 문건 작성을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그는 언론을 통해 “문건의 신빙성은 6할 이상”이라며 문건 내용을 허위로 단정한 청와대 입장을 반박했다.
박 경정은 이날 오전 검찰에 출석해 자정을 넘긴 시각까지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휴대전화 등 소지품 압수수색도 있었다. 형사1부 조사에서는 참고인, 특수2부에서는 피의자 신분이었다.
박 경정은 검찰에서 ‘해당 문건은 상당히 개연성 있는 내용’이란 취지로 주장했지만 유출 혐의는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박 경정에 대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 경정은 자택·근무지 압수수색을 당하기 하루 전인 지난 2일 부하 경찰관에게 지시해 서울 도봉경찰서에 있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일부 파일을 삭제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문건에서 ‘비선 실세’ 정기 회동 장소로 지목된 서울 강남의 J중식당 분점 3곳을 압수수색했다. 예약 명단, 결제 내역 등을 확보하고 식당 사장을 불러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모임의 실체가 입증되지 못하면 ‘김기춘 비서실장 사퇴설 유포’ 등 문건 내용도 설득력을 잃는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의 핵심은 문건에 명시된 회동의 유무”라며 “문건의 신빙성은 그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靑 정윤회 문건’ 파문] 김춘식 靑 행정관“정윤회 얼굴도 몰라” 검찰서 진술
입력 2014-12-05 0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