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윤회 문건’ 파문] 고소인 1∼2명 추가 소환… 관련자들 대질신문 가능성

입력 2014-12-05 03:34
정윤회(59)씨 ‘국정개입 의혹’ 문건의 유출 경로와 진위를 동시에 수사하는 검찰이 어느 때보다 신속하게 움직이고 있다. 수사에 착수한 뒤 연일 압수수색에 나서며 관련자 소환 일정도 발 빠르게 잡고 있다.

문서에 등장하거나 의혹에 연루된 인물들에 대한 조사는 속속 진행될 전망이다. 우선 세계일보 기자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정씨에 대한 조사가 불가피하다. 검찰 관계자는 4일 “언론에 언급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소환 요청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측에 대한 보완 조사도 예고했다. 이미 김춘식 기획비서관실 행정관을 소환해 조사한 검찰은 청와대 측 고소인을 1∼2명 더 불러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검찰 관계자는 “김 행정관을 제외한 나머지 고소인 조사 일정은 당사자들과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박관천 경정과 정씨, 조응천(52) 전 공직기강비서관 등의 대질신문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이들은 문건이 폭로된 뒤 일관되게 정반대 주장을 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준비하지는 않고 있지만 (대질이 필요한) 상황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고 했다.

검찰이 청와대 현장조사를 할지도 관심사다. 문건의 출력과 복사 등 외부로 새나간 정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청와대 내부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검찰은 이미 문건 원본을 비롯해 자체 감찰 자료와 CCTV 영상 등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청와대에 문건 유출을 입증할 자료 제출을 요청했지만 아직 받지 못했다”며 “충분치 않으면 추가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광범위한 압수물 분석에도 주력하고 있다. 검찰은 문건 유출 경로 파악을 위해 지난 3일 서울지방경찰청 정보1분실, 서울 도봉경찰서, 박 경정과 동료 경찰관 3명의 자택·차량 등 6곳을 동시다발로 압수수색했다. 검찰 관계자는 “유출 경로를 확인하려면 추가적인 수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검찰은 청와대에서 유출된 문건이 다수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지난달 28일 세계일보에 보도된 ‘국정개입 의혹’ 문건 외에도 유출된 문건이 있다면 작성 경위와 유출 경로를 수사하겠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일단 문제가 된 문건이 중심이지만 자료가 확인된다면 같이 확인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