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곁에서 17년간 ‘그림자’ 보좌를 해왔던 청와대 ‘문고리 권력 3인방’이 최대의 정치적 위기에 봉착했다. 야권은 물론 여권 일부에서도 “비서관직을 내놔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들과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파상공세를 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비주류를 중심으로 3인방 인책이 불가피하다는 논리가 확산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3인방 사퇴 요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정윤회씨와 3인방 등 이른바 ‘십상시(十常侍)’를 형사고발하겠다고 4일 밝혔다. 공무상 비밀누설 및 직권남용 등 3∼4가지 혐의를 검토 중이다. 3인방 모두의 사퇴가 힘들다면 일부라도 경질해야 한다는 현실론이 당내에서 설득력을 얻는 상황이다.
3인방의 거취는 검찰 수사의 향배와 국민들의 여론에 달려 있다. 검찰이 3인방에 대한 의혹을 밝혀낼 경우 사퇴는 기정사실이 된다. 문제는 검찰이 이들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릴 경우다. 과연 청와대가 야당과 여론의 압력에 굴복해 읍참마속(泣斬馬謖)을 할지, 여론의 역풍에도 불구하고 3인방을 지킬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문고리 3인방으로 지칭되는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은 박 대통령이 1998년 4월 대구 달성 보궐선거를 통해 정계에 입문한 이후 한시도 곁을 떠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의 보좌진은 원래 4인 체제였으나 지난 대선에서 선거 유세를 수행하던 이춘상 보좌관이 교통사고로 사망하며 3인방으로 불리게 됐다.
당시 이들을 뽑은 인물이 정씨다. 정씨는 박 대통령이 2007년 대선 경선에 출마하기 전까지 비서실장 역할도 맡았다. 정씨가 3인방을 통해 국정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것도 이런 이유들 때문이다. 그동안 여권 주변에선 “3인방은 웬만한 여당 의원보다 세다”는 얘기가 무성했다. 지금도 박 대통령의 메시지·정책·일정, 청와대의 안살림을 책임지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았다.
3인방이 청와대에 남느냐 떠나느냐하는 문제는 박 대통령 보좌진 변화라는 의미를 크게 뛰어 넘는다. 박 대통령에게 정치적 짐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검찰 수사 결과와 상관없이 사퇴해야 한다는 ‘용퇴론’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윤해 엄기영 기자 justice@kmib.co.kr
[기획] ‘문고리 3인방’ 문 밖으로?
입력 2014-12-05 02:35